“죽음과 삶 너무 괴리된 한국… 장례업자들만 돈 법니다”

“죽음과 삶 너무 괴리된 한국… 장례업자들만 돈 법니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10-11 22:04
수정 2021-10-12 00: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봉희 장례지도사협의회봉사단장

고독사·기초수급자 장례 727번 치러
코로나 시신 최다 염습 경험… 책 출간
“묘지 외진 곳으로 밀려나며 의례 과해져
수의·꽃염 등 과소비 횡행… 소박해져야”
이미지 확대
강봉희 장례지도사협의회봉사단장 사이드웨이 제공
강봉희 장례지도사협의회봉사단장
사이드웨이 제공
“우리에겐 화장장이나 묘지가 혐오시설입니다. 죽음을 삶과 너무 떨어뜨려 바라보는 거죠.”

강봉희(68) 장례지도사협의회봉사단장은 안타까움부터 털어놨다. 일본이나 미국, 유럽의 많은 도시가 시내 한가운데에 납골당과 공원묘지를 조성하는데, 우리나라는 이런 시설을 외진 곳에 떨어뜨려 놓는 현실을 씁쓸해했다.

727번. 강 단장이 그동안 무연고 고독사 사망자, 기초수급자 사망자 장례를 대신 치른 횟수다. 그는 이 일을 자신의 사명으로 생각한다. 지난해 초 코로나19가 대구를 휩쓸었을 때, 장례지도사들이 감염을 우려해 시신 수습을 꺼리자 대구시청이 다급하게 부탁한 이도 강 단장이었다. 당시 코로나19로 사망한 이들을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많이 염한 이가 바로 그다. 그는 이런 자신의 경험을 담은 ‘나는 죽음을 돌보는 사람입니다’(오른쪽·사이드웨이)를 최근 출간했다.

강 단장은 40대 중반 나이에 방광암에 걸려 죽음의 문턱에 다다르기도 했다. 암이 재발해 병원에서 항암치료를 받다가 ‘내가 다시 살 수 있게 되면 무엇을 할까’ 고민했다. 그때 병원 창문 너머 마주한 장례식을 보고, 그는 건축업을 그만두고 죽음을 돌보기로 했다.
이미지 확대
책은 2007년 그가 장례지도사가 된 계기부터 한국의 장례 문화에 대한 아쉬움, 그리고 죽음에 대한 생각들을 담담하게 담았다. “장례식장에서는 이쑤시개 하나도 돈”이라는 말이 얼마나 비정한지 떠올리면서 장례문화의 문제점을 파고든다. 예컨대 그런 고인이 입는 수의는 애초 ‘부모가 죽으면 자식들이 죄인’이라는 의미에서 자녀들만 입었는데, 일제강점기를 지나 돌아가신 분도 입는 옷이 됐다. 사람들은 이걸 모르고 비싼 수의를 사느라 여념이 없다. 최근 꽃염을 비롯해 지나치게 돈 들이는 장례식도 횡행한다.

그는 이런 문화의 밑바닥에 죽음을 무서워하고, 가급적 금기시하면서 생과 최대한 분리하려는 사고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죽음을 두려워하다 보니 관련 시설이 모두 혐오시설이 됐고, 소박한 장례가 아닌 과한 장례 문화가 보편화한다는 지적이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 외국인주민센터 운영기관 재계약 심사 참여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시의원(국민의힘, 성동구 제2선거구)은 지난달 29일 서울외국인주민센터·동부외국인주민센터 운영 민간위탁 적격자 심의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석해 외국인주민 지원사업의 공정하고 투명한 위탁 심사에 힘을 보탰다. 이번 심의위원회는 2026년 1월부터 3년간(2026~2028)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외국인주민센터 운영 위탁기관 선정 절차의 일환으로 열렸으며, 두 센터는 각각 다국어 상담·법률지원, 의료지원, 교육·문화행사 운영, 다문화 포럼 등 외국인주민의 권익 보호와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핵심 거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 의원은 이날 회의에서 “서울의 외국인주민이 안정적으로 생활하고 지역사회와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도록, 운영기관 선정 과정에서 객관성과 전문성이 충분히 담보되어야 한다”라며 “시민의 세금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수탁기관의 책임성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번 심의위원회 의결에 따라 현재 운영 수탁기관과 재계약을 하거나 공모를 통해 운영 수탁기관를 다시 선정할 예정이며, 선정된 기관은 2026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센터 운영을 맡게 된다.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 외국인주민센터 운영기관 재계약 심사 참여

“죽은 분들 리무진을 타고 보내는 게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살아 계실 때 잘해 드려야죠. 잘못된 장례 문화를 바로잡고, 좀더 소박하게 죽음을 맞이했으면 좋겠습니다.”
2021-10-1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