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 작품은 민생 취재하라는 정조 밀명의 산물

단원 작품은 민생 취재하라는 정조 밀명의 산물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6-04-08 17:48
수정 2016-04-08 18: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선의 아트 저널리스트 김홍도/이재원 지음/살림/496쪽/2만원

조선왕조실록에 단 3줄의 기록만 전할 뿐이지만 조선 최고의 화가로 꼽히는 단원 김홍도(1745~1806)의 그림에 숨겨진 비밀은 무엇일까.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김홍도는 정조의 총애를 받으며 왕의 초상을 세 번이나 그렸지만 용안을 그리는 영예로운 ‘어용화사’는 아니었다. 정조는 김홍도에게 다른 도화서 화원과 달리 한 가지 명을 내린다. “단원, 네 붓 끝에 내 꿈을 실어도 되겠느냐.” 바로 백성들의 삶을 밀착 취재하고 그림으로 그려 국정 참고 자료로 쓰고, 정조의 눈과 귀 역할을 하라는 어명이었다는 게 저자가 팩션으로 복원시킨 퍼즐의 한 조각이다.

김홍도는 실제로 정조의 가장 의미 있는 일상들을 그리며 정조의 역사를 기록했다. 1765년 세손 정조의 간청에 영조 즉위 40주년을 기념한 수작연희 의궤인 ‘경현당수작도’(景賢堂授爵圖) 병풍을 그렸고, 1795년 사도세자의 묘를 수원 화성으로 옮기는 행사를 진두지휘하며 ‘반차도’(班次圖)를 남겼다. 저자는 김홍도뿐 아니라 당대에 활약한 스승 강세황을 비롯해 개혁을 추진하며 정조 곁을 지킨 채제공과 군신의 의리를 보여준 정약용, 예술가 장혼과 김응환 등과의 인연도 씨줄과 날줄로 엮어냈다.

저자는 “뜻하지 않게 인연이 된 한 장의 ‘아집도’를 통해 새로운 인문학에 물꼬가 터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집필했다”고 밝혔다.

단원의 ‘징각아집도’로 추정되는 이 그림은 경상도 관찰사 이병모의 관사인 징청각에서 열렸던 아회를 화폭에 담은 것으로 그동안 존재만 알려졌을 뿐 그림의 행방은 묘연했다. 저자는 한 수집가로부터 알게 된 징각아집도 추정 그림을 책을 통해 처음 공개하고 진본 가능성을 연구 노트로 서술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4-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