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의 흔적 좇는 모디아노의 자전적 작품 세계

생의 흔적 좇는 모디아노의 자전적 작품 세계

입력 2014-12-18 00:00
수정 2014-12-18 03: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설 3권 잇따라 번역 출간

올해 노벨문학상을 받은 파트리크 모디아노(69)의 소설 세 권이 문학동네에서 잇따라 번역, 출간됐다. ‘잃어버린 젊음의 카페에서’(2007년)와 ‘지평’(2010년), ‘청춘 시절’(1981)이다.

‘잃어버린 젊음의 카페에서’는 1960년대 프랑스 파리를 배경으로 진정한 삶을 찾아 나선 여인 ‘루키’의 흩어진 생의 흔적을 좇는 내용이다. 소설은 여러 시선을 통해 루키를 추적한다. 루키의 신비로운 매력에 이끌린 한 고등학생의 시선, 말없이 집을 나간 아내를 찾아 달라는 남편의 의뢰로 그녀를 찾아 나선 사설탐정의 시선,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루키 자신의 시선, 그리고 루키의 마지막 애인이었던 ‘롤랑’의 시선…. 프랑스 주간지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는 “이 책은 작가의 분할된 자서전이다. 각각의 인물들 속에 영원한 학생, 집요한 탐정, 고독한 이들의 연인이자 꿈결 같은 파리를 배회하는 작가 자신이 담겨 있다”고 평했다.

‘지평’은 40년 전 자신의 곁을 떠났던 마르가레트를 그리워하는 주인공 보스망스가 화자다. 노년의 소설가 보스망스는 지난 40년간 ‘왜’라는 물음표를 품고 살았다. 완벽한 한 쌍이라 여겼고, 마르가레트가 그의 여자가 되리라 확신했는데 결정적인 순간 종적을 감춰 버려서다. ‘지평’은 모디아노 소설들의 특성을 두루 갖추고 있으면서도 차별성을 띤다. 기억을 따라가는 여정의 끝에 미래로 향하는 출구가 열리기 때문이다.

‘청춘 시절’은 제대군인 ‘루이’와 가수의 꿈을 꾸는 ‘오딜’의 아름답고 덧없던 청춘 시절 얘기를 다루고 있다. 1인칭 서술이 대부분인 그의 작품들에서 보기 드문 3인칭 소설이다. 1983년 영화화되기도 했다. 문학동네는 모디아노의 다른 소설 ‘추억을 완성하기 위하여’(1977), ‘팔월의 일요일’(1986)도 조만간 낼 예정이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4-12-1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