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에 지름 16㎝ 종양…생후 9일 만에 수술
“산전 검사에서 발견해 치료…제거해 완치”
대만 타이중시에서 엉덩이에 지름 16㎝의 거대 종양이 달린 여아가 태어났다. 자료 : 대만 청칭병원 중강분원
대만에서 신생아가 엉덩이에 지름이 16㎝에 달하는 거대 종양을 달고 태어났다. 3만 5000분의 1 확률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산전 검사에서 종양을 추적 관찰해온 의료진은 아기가 태어난 뒤 수술을 통해 종양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
24일 대만 중톈신문망 등에 따르면 대만 중부 타이중시에 위치한 청칭병원 중강분원 소아외과는 최근 엉덩이에 거대 종양을 달고 태어난 신생아 A양의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A양의 산모인 B씨는 산전 검사를 통해 태아의 몸에서 종양이 자라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 의료진은 초음파 검사에서 A양의 엉덩이에 지름 4~5㎝ 크기의 종양을 발견했고, B씨가 임신 25주 차에 이르렀을 때 아기가 태어난 뒤 정밀 검사를 거쳐 수술받을 것을 권했다.
B씨는 임신 33주 차에 A양을 출산했다. A양의 엉덩이에는 지름이 16.5㎝에 달하는 종양이 달려 있었다. 이는 핸드볼 공(지름 18.5㎝)보다 약간 작으며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탱탱볼 크기와 비슷하다.
의료진은 A양이 태어난 지 9일 뒤 수술을 실시해 종양을 제거했다. 종양의 무게는 530g으로, A양이 태어날 당시 체중(3.440㎏)의 약 6분의 1에 달했다.
A양의 종양은 ‘선천성 천미골 기형종’으로 확인됐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기형종은 태아의 배아조직 세포가 서로 섞여 있는 종양으로, A양처럼 천미골(엉치꼬리뼈)을 비롯해 머리뼈 안, 종격동, 후복막강 등 몸의 정중선 부근에 생겨난다.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대부분 양성이어서 기형종을 완전히 떼어내는 것으로 치료가 끝난다. 그러나 악성인 경우 수술과 함께 항암 치료를 해야 한다.
의료진은 “A양에게서 나타난 천미골 기형종은 발생률이 약 3만 5000분의 1로, 여아에게서 발생할 확률이 남아의 3~4배”라며 “산모가 임신 기간 동안 태아의 종양으로 인해 겪었을 압력과 걱정을 상상하기 어렵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태아의 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개입하기 위해서는 산모의 정기적인 산전 검사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