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 인사이드] “누워서 약 먹는 게 치료? 그건 재활치료 아닙니다”

[메디컬 인사이드] “누워서 약 먹는 게 치료? 그건 재활치료 아닙니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01-10 22:58
수정 2016-01-11 1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윤태 교통재활병원 진료부원장

김윤태 국립교통재활병원 진료부원장은 10일 인터뷰에서 “장애가 생겼다고 해서 삶이 끝나거나 무너지는 것은 아니다”면서 “태어날 때부터 최중증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도 얼마든지 훌륭한 삶을 살 수 있고 행복하게 지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록 멀쩡하게 살다가 중도에 장애가 생겼다고 할지라도 실망하지 말고 재활하면 새로운 삶이 반드시 다가온다는 말을 꼭 해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김 부원장은 재활의학 분야 명의(名醫)로 잘 알려져 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김윤태 국립교통재활병원 진료부원장
김윤태 국립교통재활병원 진료부원장
Q) ‘재활 골든타임’이 왜 중요합니까.

A)질병 치료에 골든타임이 있듯이 재활치료도 신체적인 회복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치료할 때 회복의 정도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 시기에 치료를 제대로 못 받으면 결과에서 큰 차이가 나게 됩니다. 홍기철 명인 사례를 보면 거의 목표를 달성했지 않습니까. 전문치료를 했을 때 도달할 수 있는 목표가 100이라면 그렇지 않은 경우 70~80밖에 못 간다는 거죠.

Q)환자들이 주의해야 할 사항은 뭔가요.

A)제가 환자들에게 자주 하는 얘기가 있어요. 사기꾼은 정말 가리기 쉽다고요. 무슨 약을 먹는다고, 무슨 시술을 받는다고 50살이 20살 되는 것 아니지 않습니까. 그런데 전문의들이 영구장애에 대해 환자가 불편해하니까 딱 부러지게 말을 못한다 이거죠. 당장 완치가 돼야 만족을 하는데 그렇지 못하니까요. 그래서 속 시원하게 얘기해주는 민간요법에 빠지는 겁니다. 장애를 이용해 이득을 취하려는 사람들이 많고 식품, 시술에 혹하기 쉬워요. 그런데 재활치료는 가만히 누워서 약 먹고 요양하는 게 아닙니다. 전문 체육선수들이 몇 달 동안 고생고생해서 몸을 만들어 나가듯이, 비록 영구적인 후유장애가 남았다고 하더라도 땀 흘려서 몸을 만들고 조금씩 정신적 충격을 줄여 나가는 과정입니다. 그만큼 지난할 수밖에 없는, 힘들고 어려운 과정이라고 할 수 있어요.

Q)재활환자와 가족들의 어려움이 많습니다.

A)재활이라는 것은 사회로 복귀시키는 게 가장 큰 목표입니다. 그런데 퇴원하고 나면 막막한 거예요. 시설이 더 편하고 좋으니까, 환자 관리가 되니까 요양기관에 남는 사례도 많아요. 앞으로 저소득층 사회복지 지원과 재활환자 의료급여 체계에 대한 지원이 더 강화돼야 할 것 같습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1-1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