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만에 ‘대재앙’…“80% 죽었다” 발칵 뒤집힌 日 대체 무슨 일?

60년 만에 ‘대재앙’…“80% 죽었다” 발칵 뒤집힌 日 대체 무슨 일?

하승연 기자
입력 2025-11-20 23:00
수정 2025-11-20 23: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굴이 일본인들의 식탁에서 자취를 감췄다. 최근 일본 굴 주산지에서 양식 굴 80%가 폐사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본격적인 제철을 맞아야 할 시기에 출하가 사실상 중단됐다. 사진은 일본에서 판매되는 굴 이미지. 유튜브 캡처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굴이 일본인들의 식탁에서 자취를 감췄다. 최근 일본 굴 주산지에서 양식 굴 80%가 폐사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본격적인 제철을 맞아야 할 시기에 출하가 사실상 중단됐다. 사진은 일본에서 판매되는 굴 이미지. 유튜브 캡처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굴이 일본인들의 식탁에서 자취를 감췄다. 최근 일본 굴 주산지에서 양식 굴 80%가 폐사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본격적인 제철을 맞아야 할 시기에 출하가 사실상 중단됐다.

20일(현지시간) 일본 방송 TBS뉴스 등에 따르면 히로시마현, 효고현, 오카야마현 등 세토내해 전역의 양식 굴 산지에서 평균 80%의 굴이 폐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양식 굴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히로시마현 구레시의 한 양식장 관계자는 “10개 중 10개가 죽었다고 할 정도다. 1개라도 살아 있으면 다행”이라며 “여름 더위로 30% 정도 폐사하는 경우는 있지만 이 정도 규모는 창업 이후 60년 만에 처음”이라고 토로했다.

효고현의 한 굴 전문점주는 “10월 중순 효고현산 굴이 나온다고 들었는데 ‘살이 적고 수량이 안 맞는다’는 이유로 계속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이 가게는 간판 메뉴인 효고현산 굴을 거의 확보하지 못해 홋카이도산 등 다른 지역 굴로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47년간 굴 양식을 해온 효고현의 한 수산업체 대표는 현지 언론에 “(굴이) 전부 입이 벌어져 있다. 대부분이 죽었다. 80% 정도 죽은 느낌”이라며 “이례적인 사태”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굴 관련 이미지. 위키피디아
굴 관련 이미지. 위키피디아


살아남은 굴도 정상이 아니다. 크기가 너무 작고 색도 하얗지 않으며 물기가 많고 살이 차지 않은 상태다. 출하할 수 있는 수준까지 성장한 굴은 전체의 10%에 불과하다. 매년 연말 선물용 굴을 출하해 온 히로시마현의 한 양식장은 올해 출하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스즈키 노리카즈 농림수산상은 지난 19일 현지를 시찰한 뒤 “수십년 동안 이런 심각한 상황은 처음이라는 업자들의 목소리를 들었다”며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긴밀히 협력해 전체적으로 경영을 지탱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왜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 온도 상승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히로시마 해수 온도는 예년보다 약 2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강수량이 적어 물 유입이 줄면서 바닷물이 충분히 식지 않았고, 비가 적어 염분 농도도 높은 상태가 유지됐다.

굴은 6~8월 고수온기에 산란하고 수온이 내려가면 산란을 멈추고 살을 키운다. 그러나 올해는 비가 적어 수온이 잘 내려가지 않아 굴이 산란을 계속하며 지친 데다 높은 염분 농도가 지속되면서 폐사와 생육 지연이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