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사키에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 세운다

나가사키에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 세운다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1-10-20 21:18
수정 2021-10-21 03: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달 6일 평화공원서 30년 만에 제막식
‘강제 징용’ 대신 ‘본인 의사에 반해’ 표현

일본 나가사키시에 ‘한국인 원자폭탄 희생자 위령비’가 세워진다. 1990년대부터 위령비 제작이 추진된 지 약 30년 만이다.

주후쿠오카대한민국총영사관에 따르면 다음달 6일 나가사키시 평화공원에서 위령비 제막식이 열린다. 태평양전쟁 말기인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시에 원자폭탄이 떨어져 약 7만 4000명이 사망했고 이 가운데 1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일본 식민지 시절 강제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들로 알려졌다.

나가사키 위령비 건립은 1990년대부터 본격 추진됐지만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했다. 나가사키시 측이 한국인 원폭 희생자가 발생한 역사적 배경인 강제 징용 관련 비문 내용과 위령비 디자인 등에 문제를 제기하며 건립 허가를 내주지 않아서다. 이는 우익 성향의 현지 단체가 반대 운동을 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민단 나가사키본부와 후쿠오카총영사관, 한국후쿠오카청년회의소 등으로 구성된 건립위원회가 발족됐고 끈질기게 시 당국과 의회를 설득해 결국 올해 3월 부지 제공 승인이 나면서 위령비가 만들어질 수 있었다.

위령비에는 시 당국이 반대한 ‘강제 징용’이라는 표현 대신 ‘본인의 의사에 반해’라는 표현을 넣는 것으로 절충했다. 위령비 안내문은 한국어와 일본어, 영어로 기술돼 있는데 영문에는 ‘강제로 노역했다’(forced to work)는 표현이 들어갔다. 후쿠오카총영사관 측은 “전쟁과 피폭의 역사를 후세에 전달할 수 있는 소중한 징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2021-10-2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