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60세 여성, 딸, 친구와 49일 노 저어 대서양 횡단

청각장애 60세 여성, 딸, 친구와 49일 노 저어 대서양 횡단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2-01 09:14
수정 2020-02-01 09: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9일 만에 대서양 횡단에 성공한 청각장애인 모 오브라이언(왼쪽부터), 친구 클레어 엘린슨, 딸 버드 왓츠와 감격의 포옹을 나누고 있다. 탤리스커 위스키 대서양횡단 탐사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49일 만에 대서양 횡단에 성공한 청각장애인 모 오브라이언(왼쪽부터), 친구 클레어 엘린슨, 딸 버드 왓츠와 감격의 포옹을 나누고 있다.
탤리스커 위스키 대서양횡단 탐사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영국의 60세 여성 청각장애인이 딸, 친구와 함께 49일 동안 4800㎞의 대서양을 노 저어 횡단했다. 두 사람은 4시간씩 노를 젖고, 한 사람은 2시간 휴식을 취하는 규칙을 49일 내내 엄격히 지킨 결과다.

제약회사 노동자로 일하는 모 오브라이언은 지난해 12월 12일(이하 현지시간)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의 라 고메라 섬을 출발해 지난달 30일 늦은 밤에 카리브해 안티구아 섬에 도착했다고 BBC가 다음날 전했다. 청각장애인이 노를 저어 대서양을 횡단한 것은 그가 처음이다. 콘월주 보예후얀 스텐낵 출신인 오브라이언은 같은 주 메바기세이에 거주하는 딸 버드 왓츠(32), 모녀의 친구이며 데본주 엑스머스 출신인 클레어 앨린슨(45)과 함께 세 여성이 노 저어 대서양을 횡단한 기록으로는 가장 짧은 49일 13시간 49분이란 기록을 작성했다.

안티구아 종착점에서 두 개의 기록을 세웠음을 확인한 오브라이언은 “여기 도착해 안도가 된다. 하지만 난 여전히 바다에 있고 싶다. 왜냐하면 정말로 좋아하는 일이기 때문”이라면서 “일주일만 샤워를 하며 쉬고 깨끗한 옷들로 갈아 입으면 태평양을 건널 준비도 돼 있다”고 우스갯소리를 했다. 세 사람 평균 체중이 12㎏ 빠졌을 정도로 바닥 난 체력을 당분간은 추스려야 할 상황이다.

오브라이언은 BBC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도전 중에 가장 좋았던 일은 밤에 노 젖는 일이었다고 털어놓았다. “물살과 바람을 거슬러 노를 저으면 시속 160㎞로 달리는 것 같은 기분이었고 그 느낌이 좋았다. 자유와 내가 바다의 일부가 된 것 같은 느낌 말이다. 약간 괴이쩍게 들릴 것 같다는 것을 아는데 아무튼 내가 전에 경험하지 못한 일”이라고 말했다. 밤하늘의 별들은 누군가 주전자 가득 빛나는 것들을 담았다가 한꺼번에 흩뿌려 놓은 것처럼 환상적이었다고 덧붙였다.
탤리스커 위스키 대서양횡단 탐사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탤리스커 위스키 대서양횡단 탐사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앨린슨은 범고래와 혹등고래 같은 야생동물들을 본 일이 “숨 막힐 듯한” 경험이었다고 했다. “데이비드 어텐보로의 다큐먼터리에서 본 것과 같은 것인데 스스로 볼 것이라고 기대했던 것과 확실히 다른 뭔가였다.” 왓츠는 “마른 흙을 밟는 것이 놀랍고도 아주 비현실적인 느낌이며 팀원들이 집에 돌아가면 마음껏 해봐야지 했던 것은 샤워였다”고 말했다.

역시나 어려웠던 점은 거친 파도와 그로 인한 배멀미, 날아가는 물고기들이 뱃전을 때리는 일, 만성적인 잠 부족을 견디는 일이었다. 오브라이언은 자신이 듣지 못해 딸, 친구와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은 점을 빠뜨리지 않았다. 왓츠는 노를 저어 대양을 횡단하려면 특히나 듣는 능력이 꼭 필요한데 어머니가 안돼 힘들었다고 솔직히 인정했다. 입술 읽는 법을 익혔지만 배 위에서는 얼굴을 쳐다보고 얘기를 나눌 상황이 안된다. 더욱이 큰 파도가 일면 크게 소리를 질러 의사를 확인해야 하는데 여의치 않아 수신호로 의사를 전달하곤 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