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결선투표서 두다 당선… 유로 도입 회의적
폴란드 차기 대통령으로 보수 야당의 안제이 두다 후보가 사실상 확정됐다. 43세의 변호사인 두다는 유로통화에 회의적이고, 러시아에 강경한 노선을 고수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등장으로 폴란드 대외정책에 변화가 예고된다. 특히 유럽연합(EU) 여섯 번째 경제 규모인 폴란드의 입장 선회는 중·동부 유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24일(현지시간) 실시된 대통령선거 결선투표 출구조사 결과 법과정의당(PiS)의 두다가 53% 득표로 대통령으로 확정됐다고 AFP 등이 전했다. 그가 취임하면 폴란드 역사상 최연소 대통령이 된다. 취임식은 8월에 열리며, 임기는 5년이다.
두다는 유력 정치인이자 일란성 쌍둥이인 레흐 및 야로스와프 카친스키와 인연이 각별하다. 두다는 2005년 레흐 카친스키가 대통령일 당시 법무차관으로 재임했다. 야로스와프 카친스키 PiS 대표는 두다를 대통령 후보로 세웠다. 카친스키 형제는 극우 민족주의자로 대외정책은 호전적이고, EU에는 회의적이다. 카친스키 형제의 “정신적 상속자”임을 자처하는 두다 역시 노선을 계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선에선 폴란드의 유로통화 도입이 최대 이슈였다. 폴란드는 2004년 EU에 가입했지만 유로통화 대신 자국 통화인 즐로티를 쓰고 있다. 현직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대통령은 유로통화 도입을 주장했지만, 두다는 강하게 반대했다. 반면 두다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폴란드와 러시아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군의 폴란드 주둔을 요구했다. 그는 러시아와 대립각을 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폴란드 대통령은 군 통수권자로서 외교안보정책에 의견을 개진하고 법률안 제출 및 거부권을 갖는다. 하지만 실질적 행정권은 총리가 갖는다. 두다가 자신의 노선을 강하게 추진하려면 그가 속한 PiS가 10월 총선에서 승리해야 한다. PiS가 이번 대선에서 승리함으로써 총선 전망도 밝아졌다고 외신들은 보고 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5-05-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