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전엔 ‘샤이 트럼프’… 이번엔 ‘네버 트럼프’에 속았다

4년 전엔 ‘샤이 트럼프’… 이번엔 ‘네버 트럼프’에 속았다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0-11-04 20:46
수정 2020-11-05 02: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이든 우세에도 무너지지 않은 트럼프

민주, 경합주서 ‘바이든 지지’ 확대 해석
2016년 ‘샤이 트럼프’ 과소평가 도돌이표
백인여성 55%·라틴계 40% 트럼프 찍어
91% 1주 전 표심 굳혀… 역대 부동표 최저

이미지 확대
反트럼프 시위대
反트럼프 시위대 4일(현지시간) 새벽 미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한 블록 떨어진 BLM(흑인 생명도 소중하다)광장에서 반트럼프 진영 시민들이 모여 시위를 벌이고 있다.
워싱턴DC 로이터 연합뉴스
‘네버 트럼프’(Never Trump·트럼프는 절대 찍지 않는다)가 과대평가된 2020년 대선.
이미지 확대
주방위군 집결한 의사당
주방위군 집결한 의사당 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주의회 의사당 앞에 대선 이후 폭력 사태에 대비해 주방위군이 집결해 있다.
오스틴 AP 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뚜껑이 열린 미 대선에서 주요 언론들의 출구조사 결과 조 바이든을 견고하게 지지할 것으로 예측됐던 ‘백인 교외 여성’들이 실제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표를 몰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개표 초반 ‘레드 미라지’(공화당 승리 착시현상)는 이미 예견됐었지만,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여유 있는 우세가 점쳐졌던 펜실베이니아·미시간·위스콘신 등 러스트벨트, 플로리다 등 남부 선벨트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선전한 것도 ‘트럼프를 절대로 찍지 않겠다’는 바이든 지지 표심이 실제보다 확대해석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2016년 대선에서 민주당이 ‘샤이 트럼프’ 표심을 과소평가해 충격의 패배를 당한 것과 같은 현상이 올해 대선에서도 되풀이된 셈이다.

특히 올해 대선에선 9월 이전에 일찍이 마음을 굳힌 유권자들이 4명 중 3명을 차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초래한 양극화가 양당 유권자 표심을 일찍감치 굳힌 반면 막판 부동표는 역대 어느 대선 때보다 최소화됐다는 뜻이다.

워싱턴포스트·뉴욕타임스·AP 등의 출구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코로나19 대응, 인종차별 시위 등 트럼프 정책에 화난 ‘앵그리 맘’으로 대변된 백인 교외 여성들이 실제로는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 것으로 나타나 앞서 여론조사들 예측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콘트리트 지지층이었던 백인 저학력층은 변함없이 트럼프를 찍었다.

워싱턴포스트 출구조사 결과 백인 여성의 55%가 ‘트럼프를 찍었다’고 답해 44%에 불과한 바이든 후보를 11% 포인트 압도했다. 흑인 여성의 91%, 흑인 남성의 80%가 바이든을 찍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계층에서 각각 18%, 8%밖에 얻지 못했다. 히스패닉 여성의 69%가 바이든을 찍은 것과도 대비된다. 반면 백인 남성의 57%는 트럼프를, 40%는 바이든을 찍었다.

저학력층 백인 계층에서 트럼프 지지율이 높은 ‘샤이 트럼프’ 현상도 여전했다. ‘대졸 학력 이하 백인’의 63%가 트럼프를 찍은 반면 바이든을 찍은 비율은 35%에 불과했다. 반대로 ‘저학력 비백인층’의 72%가 바이든을, 26%가 트럼프를 지지했다고 답했다.

한편 유권자 4명 중 3명은 ‘9월 이전에 후보를 결정했다’고 답했다. 특히 91%는 선거일 마지막주 이전에 일찌감치 마음을 굳힌 반면 ‘마지막주에 정했다’고 답한 비율은 5%에 불과했다. 역대 어느 대선보다 선거 캠페인과 유권자들이 양극화된 선거였음을 방증하는 셈이다. 앞서 1억명에 이른 사전투표 수 역시 미국 유권자들이 조기에 표심을 결정했음을 의미했다. 막판에 마음을 정한 유권자 중 55%는 트럼프를, 39%는 바이든을 찍었다고 응답해 트럼프의 막판 벼락치기 유세가 상당 부분 먹힌 것으로 해석된다.

CNN 출구조사 역시 ‘선거일 1주일 이전에 마음을 정했다’는 응답자가 93%에 이르렀고, ‘지난 1주일 사이 정했다’는 답변은 4%에 불과했다.

라틴계의 표심 변화도 주목된다. CNN에 따르면 히스패닉 유권자들은 지난 대선 때보다 더 트럼프를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대선 당시엔 히스패닉계 지지가 35%에 불과했지만, 이번엔 40% 선까지 올랐다. 반면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히스패닉계로부터 62%의 지지를 얻었지만, 이번에 바이든 후보는 50%를 간신히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부 선벨트에서 바이든 후보가 고전한 것도 히스패닉계의 절대적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호상놀이 전수관 건립’ 간담회 개최

서울특별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21일 서울시 문화유산보존과 및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관계자들과 함께 ‘바위절마을 호상놀이 전수관 건립’을 주제로 간담회를 열고, 호상놀이의 보존·계승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바위절마을 호상놀이’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된 전통 장례문화로, 쌍상여를 사용하는 독창적 장례의식이다. 단순한 장례 절차를 넘어 공동체의 슬픔을 나누고 위로하며 유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 의원은 ▲전수관 건립을 위한 별도 예산 확보 필요성 ▲주민 인식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와 홍보 확대 ▲강동구·서울시의 협력 체계 구축을 강하게 요청했다. 특히 “호상놀이는 혐오시설이 아닌, 우리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알리는 소중한 유산”이라며, “여론조사의 객관성과 대표성을 확보해 전수관 건립의 당위성을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 한광모 문화유산보존과장은 이에 대해 “주민 여론조사 및 타당성 조사를 통해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서울시 전체 무형문화재 정책과 연계해 전수관 건립 여부를 검토하겠다”며 “예산 편성과 홍보 활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호상놀이 전수관 건립’ 간담회 개최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20-11-0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