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의회서 ‘시리아 공습 사전승인’ 요구 움직임

美 의회서 ‘시리아 공습 사전승인’ 요구 움직임

입력 2013-08-28 00:00
수정 2013-08-28 1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콧 리겔 의원, 오바마 대통령에 보내는 서한 마련

미국의 시리아에 대한 공습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국 의회 일각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군사행동을 취하기 전 의회의 승인을 받도록 하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스콧 리겔 하원의원(공화)은 오바마 대통령에게 시리아에 대한 어떠한 군사적 행동에 대해서도 의회의 승인을 받도록 촉구하는 내용의 서한을 작성해 동료 의원들의 서명을 받고 있다.

AP 통신이 27일 입수한 리겔 의원의 서한 사본은 “미국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 존재하지 않을 때 의회의 사전 허가를 받지 않고 우리의 군대를 시리아에 개입시키는 것은 헌법에 분명하게 기술된 권력분립 원칙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미국 상원에서도 화학무기 공격을 한 혐의를 받는 시리아 정부군을 응징하는데 동의하는 의원들 사이에서조차 오바마 대통령에게 대(對) 시리아 공격에 앞서 의회의 승인을 받도록 요구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팀 케인(민주) 상원의원은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이 화학무기 공격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면서도 아사드 정권에 대한 군사적 행동을 하기 위해선 정당한 절차가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케인 의원은 “미국의 안보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이 없는 한 미국은 의회의 승인 없이 군사적 행동을 취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이같은 주장은 시리아 개입에 대한 부정적 여론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 로이터 통신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 국민의 25%만이 시리아 내전 개입에 찬성하고 있고, 이 가운데 군사작전에 대한 찬성은 9%에 불과하다.

오바마 대통령에게 의회의 사전 승인 절차를 요구하는 의원들은 1973년 의회가 통과시킨 ‘전쟁권 결의’를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1973년 전쟁권 결의의 내용은 의회에 전쟁을 선포할 권한을 부여하고, 대통령이 의회의 승인을 받지 않은 채 수행할 수 있는 긴급 군사 행동을 60일 이내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이후 미국의 대통령은 의회의 전쟁권 결의가 헌법에 들어맞지 않는다면서 사실상 무시해 왔다.

오바마 대통령은 2011년 동맹국들과 함께 무아마르 카다피 전 리비아 대통령을 겨냥한 행동을 취할 때도 석 달 이상 의회의 승인을 받지 않고 군사작전을 수행한 바 있다.

물론 오바마 대통령이 시리아에 대한 군사적 행동을 하기 위해 사전에 의회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의원들도 없지 않다.

피터 킹(공화) 하원의원은 AP 통신과의 전화통화에서 “나는 대통령이 의회의 승인이나 의회와의 협의 없이 군사행동을 취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 의회는 5주간의 휴회를 끝내고 오는 9월 9일 개회한다.

연합뉴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서울시민 44.5%, “폐교는 일자리 지원·민간 상업시설로 활용해야”

서울시에서 발생한 폐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발표되어 이목을 끌고 있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서초 제1선거구, 국민의힘)은 2025년 6월 20일부터 4개월간 추진된 ‘서울시 폐교증가에 따른 공공활용에 관한 방안 연구’의 최종보고서를 공개하고, 앞으로 서울시의회 차원에서 폐교 활용방안과 활용 원칙에 관한 논의를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용역은 지난 4월 박상혁 위원장의 제안으로 서울시의회 차원에서 착수된 것으로, 명지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이정환 교수(연구기관: ㈜가치경영원)가 책임연구원을 맡아 진행되었다. 연구보고서는 부산산림교육센터와 아트 치요다 3331 등 6개의 국내·외 폐교 활용 사례를 제시한 뒤 폐교 활용에 대한 서울시민 인식 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토대로 ① 폐교의 복합용도 개발, ②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폐교재산 활용 종합계획 수립, ③ 폐교 활용방안 수립 시 지역주민 참여 방안 마련 등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번 연구 중 가장 주목되는 내용은 서울시 내 폐교 활용 전반에 대해 서울시민 366명의 의견을 물어본 설문조사 결과이다. 해당 조사는 연구용역의 일환으로 2025년 7월 31일
thumbnail -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서울시민 44.5%, “폐교는 일자리 지원·민간 상업시설로 활용해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