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등 입국 제한 조치 탓 약세
1위 싱가포르… 中, 10년 새 30위 쑥

대한민국 여권. 연합뉴스
미국이 세계 ‘여권 파워’ 순위에서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반면 한국은 지난해와 같은 2위를 지켰다.
영국의 해외 시민권 자문 업체 헨리앤파트너스는 지난 14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2025년 세계 여권 순위인 ‘헨리 여권 지수’를 공개했는데, 미국은 20년 만에 처음으로 10위권 밖인 12위를 기록했다.
여권 순위는 비자없이 입국할 수 있는 국가 숫자로 선정한다. 미국인은 현재 180개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 말레이시아와 함께 12위다. 헨리 여권 지수 대상 조사국은 모두 199개국이다.
미국은 2014년 같은 조사에서 1위를 기록한 이후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국가 숫자가 줄며 순위가 계속 떨어졌다. 헨리 여권 지수 순위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자료에 따라 실시간으로 바뀌는데 미국은 지난 7월 공동 10위를 기록했다가 이번에 12위까지 내려왔다.
여권 파워 1위 국가는 싱가포르로 모두 193개국에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190개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한국의 여권 파워는 직전 조사 결과와 같은 2위였다. 일본은 189개국에 무비자 입국을 할 수 있어 3위에 올랐다. 1~3위를 모두 아시아 국가가 차지한 것이다. 중국은 2015년 94위에 불과했으나 2023년부터 무비자 정책을 확대하면서 이번에는 64위(82개국)로 순위가 상승했다. 북한은 100위(38개국)에 그쳤다.
미국 여권 영향력의 약세는 최근 몇몇 국가에서 시행한 입국 제한 조치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예로 지난 4월 브라질은 상호주의 부족을 이유로 미국, 캐나다, 호주 시민의 무비자 정책을 철회했다.
헨리앤파트너스 측은 미국 여권파워의 순위 하락에 대해 “세계 이동성과 소프트파워 역학의 근본적인 변화를 보여준다”며 “개방성과 협력을 수용하는 국가들은 앞서나가지만, 과거의 특혜에 머물러 있는 국가들은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5-10-1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