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예쁜 딸 ‘사탄’?…기괴한 이름 짓는 부모들

우리 예쁜 딸 ‘사탄’?…기괴한 이름 짓는 부모들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6-04-23 11:47
수정 2016-04-23 11: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산가리, 사탄, 피시앤칩스, 항문, 이케아, 오사마 빈라덴, 누텔라, 페이스북…”

전혀 공통점이 없는 이 단어들이 자칫 어여쁜 아이의 이름이 될 뻔 했다. 하나 뿐인 아이에게 아주 특별한 이름을 선물해주려는 부모의 ‘빗나간’ 애정 때문이다.

23일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등에 따르면 영국 웨일스에 사는 한 여성은 쌍둥이 아들과 딸 이름을 각각 ‘프리처’(Preacher·전도사), ‘사이어나이드’(Cyanide·청산가리)로 지었다.

여성은 청산가리가 나치 독일 독재자였던 아돌프 히틀러를 죽인 “사랑스럽고 예쁜 이름”이라며 아이에게 붙여주려 했다. 히틀러가 권총 자살이 아니라 청산가리 중독으로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지방정부가 여아의 이름에 제동을 걸고 나서자 결국 법적 분쟁으로 이어졌다. 영국 가정법원은 지난해 9월 아이의 행복을 생각하지 않았다며 이름 사용을 금지했다. 여성이 항소함에 따라 최근 열린 항소심에서도 법원은 1심과 같은 판결을 내렸다.

여성은 약물 남용과 정신병력이 있었고 아이들은 위탁 양육 가정에 맡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청산가리처럼 기괴한 이름을 아이에게 붙여주려다 제지를 당한 사례는 많다.

뉴질랜드에선 쌍둥이 이름을 영국의 대표요리 ‘피시 앤 칩스’(Fish and Chips)로 붙이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했다. 뉴질랜드 내무부는 루시퍼(Lucifer·사탄), 크라이스트(Christ·그리스도), 메시아(Messiah·구세주)라는 이름을 쓰지 못하도록 했다.

덴마크의 한 부모는 아기를 항문(Anus)으로 부르려고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중국에선 전자우편 주소를 표기할 때 쓰이는 @를 아이 이름(Wang @)에 넣었다가 금지당한 경우가 있다.

1996년 스웨덴 정부가 가구업체인 이케아(IKEA) 등의 이름을 쓰지 못하게 한 것에 항의한다는 차원에서 한 부모는 정체 모를 아기 이름(Brfxxccxxmnpcccclllmmnprxvclmnckssqlbb11116)을 붙이려다 거부당했다.

이밖에 극단주의 테러단체인 알카에다 수장이었던 오사마 빈라덴과 누텔라(초콜릿 잼), 페이스북 등도 사용을 허가받지 못한 이름들이다.

기괴한 이름들이 각국 정부나 법원의 문턱을 넘지 못했지만 영웅 캐릭터나 영화 속 인물에서 따온 이름들은 대체로 살아남았다.

영국에는 슈퍼맨(Superman)으로 불리는 어린이가 최소 2명(1984년 이후 기준) 있다. 영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마법사 간달프(Gandalf)가 이름인 아이도 6명이나 있다.

역으로 부모가 지어준 평범한 이름을 거부하고 스스로 특이한 이름을 선택한 사례도 있어 시선을 끈다. 영국 남성인 샘 스티븐스는 법정 투쟁 끝에 만화영화 ‘토이 스토리’에 나오는 ‘버즈 라이트이어’(Buzz Lightyear)로 개명하는 데 성공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