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역사적 대선’ 결선투표 실시

이집트 ‘역사적 대선’ 결선투표 실시

입력 2012-06-16 00:00
수정 2012-06-16 17: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6~17일 이틀간…21일 당선인 발표이슬람 후보-구정권 인사 양자 대결

지난해 2월 호스니 무바라크 전 이집트 대통령 퇴진 이후 처음으로 새 지도자를 뽑는 역사적인 대통령 결선투표가 이집트에서 16일(현지시간) 시작됐다.

이집트 인구 8천200만명 가운데 유권자 5천만명은 이날부터 이틀간 치러지는 대선 결선 투표에 참여, 60년 만에 처음으로 자유 민주주의 선거를 통해 새 대통령을 선출하게 된다. 이집트에서는 이틀간 오전 8시부터 전국 1만 3천 투표소에서 선거가 진행된다.

대통령 당선인은 오는 21일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이날 이집트 수도 카이로와 제2의 도시 알렉산드리아 등 주요 도시에서는 아침 일찍부터 유권자가 긴 줄을 이루며 자신의 순서를 기다렸다. 카이로의 투표소에서는 수십~수백명의 행렬 주변을 무장한 군인과 경찰이 삼엄하게 경비했다.

무바라크 퇴진 이후 과도 정부를 이끄는 이집트군 최고위원회(SCAF)는 오는 7월1일까지 민간 정부에게 권력을 이양할 것을 약속했다.

이번 대선은 이슬람주의자와 구정권 인사 대결로 요약된다.

이집트 최대 이슬람단체 무슬림형제단이 내세운 모하메드 모르시(61)와 무바라크 정권 시절 마지막 총리를 지낸 아흐메드 샤피크(71)가 결선에 진출, 각축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번 대선을 통해 이집트가 이슬람주의 국가가 되느냐, 아니면 세속주의 국가로 남느냐가 결정될 전망이다.

자유정의당 대표를 맡다 대권 도전에 나선 모르시는 13명의 후보가 경쟁한 1차 투표에서 득표율 24.7%, 공군 장교 출신인 샤피크는 23.6%로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이날 카이로 투표소에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던 나그완 가말(26)은 “이슬람주의자가 싫지만 샤피크가 더 싫어 모르시에게 투표할 것”이라고 말했고 기독교인인 마크람은 “치안을 약속한 후보(샤피크)에게 한 표를 행사하겠다”고 AFP통신에 전했다.

그러나 이틀 전 헌법재판소가 총선은 위헌이라며 의회 해산 명령을 내리면서 대선 결선투표가 의회와 헌법 없이 치러지는 문제점도 낳았다.

헌재의 의회 해산 명령으로 지난 13일 구성된 ‘제헌의회’의 존립마저 불확실해지면서 신임 대통령의 권한을 규정할 새 헌법 초안 구성 작업도 사실상 중단됐다.

자유주의 정당과 단체들은 헌재의 판결에 저항해 결선투표 ‘보이콧’을 촉구하는 등 혼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집트 과도 정부를 이끄는 군부는 새 대통령에게 권력을 이양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무슬림형제단과 군부의 권력 투쟁, 재야 단체의 반군부 움직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유정희 서울시의원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관악구 전역 주민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유정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구 제4선거구)은 10월 말부터 11월 중순까지 관악구 여러 동에서 열린 ‘동별 주민총회’에 연이어 참석하여 주민들과 직접 소통하고, 각 동에서 제안된 마을 의제와 지역 현안을 폭넓게 살폈다. 유 의원은 난곡동, 낙성대동, 남현동, 대학동, 성현동, 서림동, 서원동, 삼성동, 인헌동, 청림동(가나다순) 등 관악구 전역에서 개최된 주민총회에 참여했다. 주민총회는 각 동의 주민들이 마을 문제를 스스로 제안하고 논의하며 해결 방향을 결정하는 자리로, 지역의 실질적인 의사결정 구조가 작동하는 대표적인 참여형 자치 방식이다. 유 의원은 주민총회를 통해 “주민이 직접 의제를 만들고, 그 의제를 토론과 숙의를 거쳐 결정하는 과정이 곧 자치의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행정이 주민에게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라, 주민이 직접 마을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구조가 점점 더 자리 잡고 있다”며 주민총회 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민총회 현장에서는 동마다 다양한 마을 의제가 제안되고, 주민 사이의 토론과 의견 수렴이 이어졌다. 일부 동에서는 주민들이 준비한 공연이 더해져 공동체 활동의 의미를 함께 나누는 시간이 마련되기도 했다. 유 의
thumbnail - 유정희 서울시의원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관악구 전역 주민총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