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사임 전의 페일린 이메일 공개

알래스카, 사임 전의 페일린 이메일 공개

입력 2012-02-24 00:00
수정 2012-02-24 18: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라 페일린 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가 2009년 사임하기 전 주의회와의 관계 악화에 좌절감을 표시하며 공식 이메일에서 “더 이상 참을 수 없다”고 말한 것으로 23일 드러났다.

페일린의 이런 상황은 이날 알래스카 주정부가 공개한 페일린의 주지사 재임 당시 공식 이메일에 담겨 있다.

알래스카 주정부는 이날 1만7천736개, 3만4천820쪽 분량의 이메일을 공개했다.

이 이메일은 페일린이 2008년 대통령 선거 당시 공화당의 부통령 후보로 공식 지명된 지 1개월이 지난 2008년 10월부터 대선 패배 후 2009년 7월 주지사직을 사임하기까지의 기간에 작성된 것이다.

알래스카 주지사실은 이번에 공개된 이메일 중 1만3천791개는 편집 없이 공개됐다고 밝혔다.

이들 이메일은 선거 유세를 다녀야 했던 페일린이 알래스카를 떠나 주의회와 정부를 자주 비운 사실을 놓고 2009년 봄에 주의회의 민주·공화 양당 의원들과 끊임없이 충돌하고 있었음을 드러냈다.

당시 페일린이 부하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은 자신이 선거운동 문제로 주도인 주노를 떠나있었던 사실을 의원들이 끊임없이 거론하면서 자신과 주정부를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페일린은 일부 의원들에게 어떻게 압력을 가할 수 있는지를 보좌관들에게 묻기도 했으며 주검찰총장으로 자신이 지명한 웨인 앤토니 로스에게는 격려의 메일을 보내면서 “강하게 나가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로스는 그러나 주의회에서 인준을 받지 못해 알래스카 주정부에서는 처음으로 의회 인준이 거부당한 각료급 공직자가 됐다.

페일린은 로스가 인준을 받지 못한 날 인디애나주로 가 낙태반대운동에 참가했다.

페일린은 자신에게 잇따라 제기되고 사임 당시 스스로 언급했던 공직 윤리 위반 의혹에 대해서도 좌절감과 불만을 표시했다.

페일린은 당시 파넬 부지사에게 보낸 2009년 3월24일자의 몇몇 이메일에서 이런 의혹 제기는 “내 시간과 돈의 낭비이며 주의 시간과 돈의 낭비”라고 말했다.

페일린은 이후 4월에 다시 의혹이 제기되자 남편과 보좌관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더이상은 참을 수 없다”고 분노를 폭발시켰다.

이번 이메일 공개는 미국 시민과 언론의 공개 요구에 따른 것으로 알래스카 주정부는 지난해 6월에 1차로 2008년9월까지의 페일린 이메일을 공개한 데 이어 공개 요구가 제기된 지 거의 3년반이 지난 이번에 임기 후반 나머지 부분을 공개했다.

연합뉴스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 전역 폭염경보에 학교 현장 긴급 점검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이틀째 지속되는 가운데 최호정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은 9일 동대문 이문초등학교를 방문해 폭염 대응책을 긴급 점검했다. 방문에는 이 지역 시의원인 심미경 의원도 함께했다. 앞서 8일 서울은 117년 만에 7월 상순 역대 최고기온(37.8도)을 기록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유·초·중·고등학교에 ‘폭염경보에 대한 대응 철저 요청’의 공문을 보내 학생들의 하굣길 화상·열사병 피해 예방을 위한 양산쓰기 등 긴급대책을 제안했다. 또, 폭염경보 발령 때 학교장이 등하교 시간 조정, 단축수업 등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방문한 이문초등학교는 주변 재개발로 인해 학생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현재 750여 명이 재학 중이고, 내년 1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 의장은 먼저 학교장으로부터 폭염 대응책과 늘봄학교 등 방과 후 돌봄 현황을 청취하고 늘봄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교실을 둘러봤다. 학교장은 폭염이 길어지면서 학교 기본운영경비의 30~40%가 전기, 가스, 수도요금으로 나가는 실정이라고 애로사항을 전했다. 이날 최 의장은 여름방학 기간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의 수요를 학교가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 전역 폭염경보에 학교 현장 긴급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