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춘곤의 계절에 피로의 시대를 생각하다/장은수 민음사 대표

[열린세상] 춘곤의 계절에 피로의 시대를 생각하다/장은수 민음사 대표

입력 2012-03-24 00:00
수정 2012-03-24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장은수 민음사 대표
장은수 민음사 대표
사방으로 봄기운이 그득하다. 바람은 따스한 기운을 끌어안아 자기를 덥히고, 나무는 감추어 둔 새순들을 밀어 올리며, 풀은 갈색 껍질에 물을 불러들여 푸름을 준비한다. 몸은 겨울 외투의 답답함을 견디지 못하고, 마음은 줄 이을 외출에 절로 두근거린다. 유행에 민감해진 열여섯 살 딸은 말리는 제 어미를 뿌리치고 과감히 봄차림으로 나섰다가 저녁 무렵 파랗게 질려 돌아오고도 배시시 웃는다.

그렇다. 어느새 봄이다. 겨울 추위를 건너온 육신이 새 기운을 받아들이려 지친 끝에 따스한 남쪽 바람에 기대 깜빡깜빡 잠들곤 하는 춘곤(春困)의 계절이다. 봄 피로를 물리치기 위한 각종 처방이 연례행사로 온갖 미디어를 뒤덮고 있다. 물론 자연의 거대한 순환이 불러온 이 피로는 가벼운 운동 정도로도 물리칠 수 있다. 그러나 그 피로와 겹쳐 있는 피로, 세상의 고단함이 불러들인 삶의 피로도 그렇게 가볍게 물리칠 수 있을까?

요즘 한 권의 책이 서점가에서 폭풍을 불러오고 있다. 재독 철학자 한병철 교수의 ‘피로사회’가 주인공이다. 시집만 한 판형에 120쪽 내외의 책이지만, 나온 지 3주 만에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최근 만난 사람들은 대개 이 책을 입에 올렸고 블로그·트위터 등 마이크로미디어들에서도 단연 화제다. 짧은 기간에 이토록 충격을 주면서 급속히 사람들 사이에 퍼져 나간 철학책은 많지 않았다.

물론 우리는 안다. 피로!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앓고 있고, 앓을 것이며, 앓을 수밖에 없는 이 사소하면서도 끈질기며 치유할 수 없는 질병에 대해. 의사들은 끊임없이 피로를 만병의 근원으로 경고하고, 건강 히스테리로 뒤덮인 사회는 더 활력 넘치는 삶, 그러니까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서 생명의 성능을 극대화”할 것을 주문한다. 이 가공할 질병이 찾아오기 전에 노동과 운동의 병행, 일과 휴식의 조화와 같은 ‘자기 관리’로 대응하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중 누구도 “철저한 자기 관리” 자체가 피로의 원인이라고 밝히지 않는다.

‘피로사회’에 따르면 우울증, 소진증후군 등 ‘신경증적 질병’이 결핵과 같은 박테리아성 질병이나 에이즈 같은 바이러스성 질병을 제치고 21세기를 지배하는 질병이 되었다. 이러한 질병을 퍼트리는 것은 효율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자기를 착취하도록 하는 자본주의 경제이고, 그 결과 나타난 성과사회이다. ‘~을 해야만 한다’는 명령 아래 장애인·부랑인·주정뱅이 등 이질적 타자를 외부로 쫓아냄으로써 복종하는 주체를 요청했던 과거와 달리, 현대사회는 ‘나는 할 수 있다’는 능력, 즉 스펙을 갖추고 자유의지로 헌신하면서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는 긍정성의 인간, 즉 성과주체를 호출한다.

그러니까 자기계발이 삶의 모토가 된 것은 필연이다. 우리는 성공하는 주체, 즉 자기 삶의 주인이 되기 위해 우리 안 저 깊숙한 곳에 있는 능력을 끝까지 끄집어내야 하고 그 능력을 써먹으려고 자발적 노예가 된다. 과도하게 움직이고 때때로 무력하며, 소진에 대한 불안에 시달리고 마침내 우리 자체를 소모할 때까지 몰아간다. 우리는 이 사회에서 “죽을 수 있기에는 너무 생생하고 살 수 있기에는 너무 죽어 있는” 상태로 살고 있다. 이 시대의 피로는 누가 나를 공격해서 생긴 것이 아니라 내가 나를 공격함으로써 생긴 것이다.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닌 이 삶의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병철 교수는 니체가 말한 “중단하는 본능”, 즉 몰려드는 온갖 자극에 즉각 반응하지 않고 속도를 늦추는 것을 한 해결책으로 제시하는 듯하다. ‘분노’와 같이 “현재에 대해 총체적인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어떤 상황을 중단시키고 새로운 상황이 시작되도록” 하는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해 ‘안 돼!’라고 말하는 것이다. 아니면 참선과 같이 이 행동과잉의 시대에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자기 안에서 중심이 되고자 하는 연습”을 하는 것도 한 좋은 방법으로 보는 듯하다. 이 방법들에 동의하든 말든, 피로에 대한 온갖 말들이 넘쳐나는 춘곤의 계절에 우리 시대의 삶을 근본에서 횡단하는 피로라는 질병의 뜻을 되새겨 보는 것은 정녕 뜻깊은 일이 될 것이다.

2012-03-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