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특수에 ‘아웃도어’ 살아났다

코로나 특수에 ‘아웃도어’ 살아났다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22-04-19 17:54
수정 2022-04-20 0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야외활동 급증에 작년 매출 반등
수지·아이유 등 ‘빅모델’ 효과도

이미지 확대
노스페이스·K2·블랙야크 등 국내 주요 아웃도어 브랜드가 지난해 모처럼 활짝 웃었다. 2014년 정점 이후 매년 실적 하락세를 이어 가던 이들 브랜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편한 옷을 선호하는 트렌드가 자리잡고 젊은 세대 사이에서 등산이 ‘유행’처럼 번지는 등 야외 활동이 급증하며 매출 반등에 성공했다.

19일 업계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아웃도어 브랜드 6개의 매출은 전년 대비 3~26% 늘었다.

업계 1위는 노스페이스를 전개하는 영원아웃도어로 지난해 매출 544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이 26% 뛰었다. MZ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가 선호하는 뉴트로 트렌드에 맞춰 재출시한 짧은 기장의 ‘눕시 재킷’이 완판을 이어 가며 실적을 이끌었다.

신진 브랜드가 뒤를 쫓았다. F&F는 방송 채널 라이선스 브랜드인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단일 브랜드로 지난해 4407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선전했다. 새로운 브랜드 경험을 즐기는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끌며 빠르게 시장에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각각 수지와 아이유를 모델로 앞세운 전통 아웃도어 브랜드 K2·블랙야크도 두 자릿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K2를 운영하는 케이투코리아는 지난해 4022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매출이 뛰었고, 블랙야크를 전개하는 비와이앤블랙야크는 3365억원으로 17% 몸집을 키웠다. 아이더와 밀레도 댄서 노제, 이문세 등을 브랜드 모델로 기용해 구매욕을 자극했다. 두 회사는 전년 대비 매출이 각각 3%, 7%로 소폭 늘었다.

아웃도어 브랜드의 성장세는 올해도 야외를 찾는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MZ세대를 공략한 젊은 디자인과 빅모델 기용을 이어 가는 한편 다양한 용품과 신발 마케팅에 힘을 실을 계획이다. 실제 지난 1~3월 중순 블랙야크, 네파, 밀레, K2 등의 신발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140%까지 뛰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2022-04-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