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생산량 216만대 그쳐… 수출도 年평균 9만대씩 4년째 ↓
한국 자동차 산업이 뒤로 달리고 있다. 부진한 수출에 내수까지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상반기 우리나라 자동차 생산량이 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내 자동차 생산이 계속 줄어드는 것은 수출 부진 속에 내수마저 살아날 기미가 안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 자동차 수출은 4년 연속 감소세다. 2014년 상반기 159만 9883대에서 2015년 154만 4405대, 지난해 133만 5169대까지 줄었고, 올 상반기에는 132만 4713대를 기록했다. 연평균 9만대씩 수출이 줄고 있는 셈이다.
한때 가장 큰 시장이던 북미 수출은 올해 46만 8129대로 전년 대비 11.0% 줄었다. 특히 현대·기아차는 중국의 ‘사드 보복’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지난 3월 이후 넉 달 연속 판매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현대차와 기아차의 상반기 중국 시장 판매는 각각 42.4%와 54.6% 줄어든 20만 1277대와 12만 9670대에 그쳤다. 현대차그룹 고위 관계자는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 내 반한 감정이 현지인들에게 한국산 차를 사는 것은 물론이고 운전하는 것조차 주저하게 만드는 모습”이라면서 “더 암담한 것은 지금 같은 분위기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른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지난해 5위에서 6위로 한 계단 하락한 글로벌 자동차 생산국 순위마저 다시 7위 멕시코에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사드라는 큰 변수가 생긴 중국은 일단 제외하더라도 북미와 중동 수출도 상반기만 10% 이상 빠진 상황”이라면서 “업계 내부에서도 이쯤 되면 단기 처방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완성차 업계의 어려움이 하반기부터 부품업체로 번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하반기부터 일부 부품업체의 연쇄 도산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면서 “완성차 업계의 수익률이 5%대까지 낮아지면서 부품 공급선을 다변화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면 2~3차 부품업체들은 직격탄을 피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7-07-0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