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10월 세계경제전망 발표
올해 0.9%, 내년 1.8% 전망
주요국 중 가장 큰 폭의 회복세
관세협상 타결시 더 상향될듯

국제통화기금(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2025~2026년)
내년 한국 경제가 ‘브이(V)자’로 반등하며 0%대 저성장에서 탈출할 거란 국제기구의 전망이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4일(현지시간)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서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제시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0.9%라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 경제 성장 폭이 올해보다 두 배 더 커진다는 의미다. 선진국과 신흥개도국 그룹 주요국 중 가장 큰 폭의 회복세다.
IMF는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확장재정, 기준금리 인하 등 완화적 정책의 효과가 본격화하고 기저효과 영향으로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8%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1.8%는 미국이 현재 부과 중인 상호관세 15%와 자동차 25%, 철강 50% 등 품목별 관세가 내년까지 지속된다는 가정 아래 산출됐다. 3500억 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 방식을 놓고 교착 상태에 빠진 한미 관세협상이 전격 타결되면 전망치는 이보다 더 상향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년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 가능성도 제기된다. 잠재성장률은 한 국가가 자본·노동·자본 등 모든 생산 요소를 활용해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성장률로, 소위 ‘경제 기초체력’을 뜻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추산한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올해 2.02%, 내년 1.98%다. 정부 관계자는 “IMF 전망대로라면 올해 실질 성장률 전망치(0.9%)는 잠재성장률과 1% 포인트 가량 갭이 생겼지만, 내년에는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성장할 거란 전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재명 정부는 ‘잠재성장률 3% 회복’을 국정 과제로 정했다. 내년 성장률이 2% 안팎까지 회복되면 잠재성장률도 반등 흐름을 탈 가능성이 있다.
반면 미국에 5500억 달러(786조원) 투자를 약속한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한국과 반대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IMF는 일본의 전망치를 올해 1.1%, 내년 0.6%로 제시했다. 중국도 올해 4.8%, 내년 4.2%로 올해보다 내년 경제 상황이 더 나빠질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은 올해 2.0%, 내년 2.1%, 유로존은 올해 1.2%, 내년 1.1%로 비슷한 성장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관계자는 “일본의 저성장에는 관세뿐만 아니라 인구구조와 생산성 저하, 재정 건전성 악화까지 겹쳐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