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예산 206% 커진다… 10조 투입해 AI 집중 육성

AI 예산 206% 커진다… 10조 투입해 AI 집중 육성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5-08-29 13:24
수정 2025-08-29 13: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6년 예산안]
AI 예산 3.3조→10.1조 ‘확대’
피지컬 AI 선도국가 달성 총력
GPU 5만장 확보 예산 178%↑

이미지 확대
정부, 2026년 예산안 브리핑
정부, 2026년 예산안 브리핑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기재부 간부들이 지난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년도 예산안을 설명하고 있다. 2025. 8. 29.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내년 인공지능(AI) 예산을 기존의 3배 규모로 키우고 AI 3강 도약을 위한 대전환에 나선다. 예산 규모는 올해 3조 3000억원에서 10조 1000억원으로 206.1% 커진다.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2026년 예산안’을 심의·의결했다. 첫 번째 중점 투자 분야로 ‘AI’를 선정하고 AI 3강 도약을 위한 대전환에 10조 1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피지컬 AI 선도 국가 달성을 위해 로봇, 자동차, 조선, 가전·반도체, 팩토리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AI 대전환’에 나선다. AI 로봇 분야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용 AI 모델·플랫폼과 로봇 핵심부품 개발·상용화에 5510억원을 투자한다.

AI 자동차 분야에서는 완전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와 자율주행 기반 교통서비스 도입을 위한 ‘AX 실증 밸리’ 조성에 6000억원을 투입한다. AI 조선 분야에서는 완전 자율운항 선박 기술 개발 예산으로 6135억원을 배정했다. AI 가전·반도체 분야에서는 TV·냉장고, 지능형 홈서비스 등 글로벌 AI 가전·홈 시장 선점을 위한 온 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에 9973억원을 투입한다. AI 팩토리 분야에서는 피지컬 AI 기반 자율 제조 기술 도입에 2조원을 쏟는다.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피지컬 AI 지역거점 조성과 대규모 AX 연구개발(R&D) 실증 추진을 위해 ▲광주 에너지 모빌리티(240억원) ▲대구 로봇·바이오(198억원) ▲경남 기계·부품 가공(400억원) ▲대전 버티컬 AI 대전환(1594억원) ▲전북 AI 팩토리 테스트베드(400억원) ▲부울경 해양·항만(370억원) 등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바이오헬스, 주택·물류 등 생활밀접형 제품 300개의 AI 적용을 지원하는 ‘AX-스프린트 300’ 사업에 예산 9000억원을 별도로 배정했다.

공공 부문도 대대적인 AX 프로그램 확대에 나선다. 예산은 2000억원이 편성됐다. 복지·고용, 납세, 신약 심사 등을 3대 선도 프로젝트로 선정해 우선 전환에 집중한다.

AI 예산 중에선 ‘GPU’(그래픽처리장치) 5만장을 확보하는 예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다. 올해 2조 7000억원에서 내년 7조 5000억원으로 4조 8000억원(177.8%) 증액된다. 정부는 고성능 GPU 1만 5000장을 추가로 구매해 내년에 5만장(정부 3만 5000장+민간 1만 5000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아울러 범용 인공지능(AGI) 분야에서 민간이 주도하는 연구기업(SPC) 설립을 위한 출자에 200억원, 피지컬 AI 선도 기술 개발에 150억원, 7대 도메인 AX에 필수적인 버티컬 AI 개발을 위한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부설 버티컬AI연구지원(NAIS) 신설에 400억원을 투자한다. AI 혁신펀드(1000억원)와 딥테크·AI 펀드(3000억원)를 조성해 혁신기업 창업도 지원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