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기도 없다” 서울 아파트 7월 거래량 역대 최대

“비수기도 없다” 서울 아파트 7월 거래량 역대 최대

입력 2017-08-01 10:05
수정 2017-08-01 1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투기과열지구 등 고강도 대책 발표 임박

한여름 비수기도 서울 아파트에 대한 투자심리에 걸림돌이 되지 못했다. 서울 아파트 지난달 거래량이 7월 거래량으로는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일 서울시가 운영하는 부동산포털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1만4천56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최다 거래를 기록한 지난 6월의 1만4천475건보다 많은 것이면서 7월 거래량으로는 2006년 실거래가 신고제 도입 이후 최대치다.

올해 상반기 전체 주택거래량은 작년 동기보다 감소했지만 최근 들어 매수세가 증가하면서 서울 아파트 거래는 연간 주택거래량이 100만건을 넘었던 지난해 7월의 1만4천88건, 2015년 7월의 1만1천943건을 뛰어넘었다.

주택거래 신고 기간은 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여서 7월 거래량에는 실제 지난 6월에 이뤄진 계약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

그러나 여름 비수기인 7월에 거래 신고가 급증한 것은 최근 서울지역 아파트에 대한 투자심리와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정부는 이에 따라 서울 강남권을 비롯한 과열 지역을 투기과열지구로 묶는 등의 추가 규제 대책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7월 거래량은 6월과 비교해 강북권에서 많이 늘었다.

최근 재건축과 소형 아파트 임대 수요가 몰린 노원구가 1천633건으로 서울 전역을 통틀어 거래량이 가장 많았다. 지난달(1천534건)보다 100건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성북구는 지난달 신고 건수가 총 730건으로 6월(567건) 대비 28.7% 증가했다.

강서구(906건), 도봉구(638건), 동대문구(508건), 서대문구(402건) 등도 전월 대비 거래량이 늘었다.

강남권은 6·19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으로 지난 6월보다 신고건수가 감소했지만 예년보다 거래량은 여전히 많았다.

강남구와 송파구는 각각 1천19건, 1천64건이 신고돼 지난달(1천39건,1천80건)에 이어 거래량이 두달 연속 1천건을 넘었다.

서초구와 강동구와 653건, 833건으로 지난 6월보다는 감소했지만 작년 동월보다는 증가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서울시의회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 제2선거구)은 지난 6월 23일 왕십리도선동을 시작으로, 6월 25일 행당1동, 7월 8일 왕십리제2동, 7월 9일 행당2동에서 열린 2025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참석해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며 자치 활동의 의미를 함께했다. 주민총회는 각 동의 주민자치회가 주도해서 한 해 동안의 활동을 보고하고, 주민 제안 사업에 대해 주민들이 직접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자리로, 생활자치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참여 플랫폼이다. 이번 주민총회에서는 자치계획 보고, 분과별 활동 공유, 마을의제 설명 등 다양한 순서가 진행되었으며, 생활안전, 복지, 환경 등 주민 실생활과 밀접한 주제들이 활발히 논의됐다. 구 의원은 각 총회에 참석해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주민들이 직접 마을의 일에 참여하고 방향을 정하는 모습이 참 인상 깊었다”면서 “이런 소중한 참여와 열정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시의회에서도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 한편, 구 의원은 매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빠짐없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꾸준히 청취하고 있으며, 주민 제안이 실질적인 정책과 예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