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알지 못해도 쉬워요] 랜섬웨어 해커, 왜 현금 아닌 비트코인 원할까

[경제 알지 못해도 쉬워요] 랜섬웨어 해커, 왜 현금 아닌 비트코인 원할까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17-05-15 22:58
수정 2017-05-16 0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파일 암호화해 돈 요구… 전 세계 해킹 비상

전 세계 가상화폐 거래량의 90%
실체 없고 익명 거래…추적 못해
가격 1센트서 1900弗로 치솟아
“범죄·탈세 악용” 규제 목소리
“모든 파일의 암호를 해독하려면 지불해야 합니다. 지불을 제출하는 데는 3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 후 가격이 배가 됩니다. 또한 7일 내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면 파일을 영구적으로 복구할 수 없습니다.”

맞춤법이 어색한 이 메시지는 15일 CGV 일부 상영관 스크린에 침투해 게재된 ‘랜섬노트’(랜섬웨어의 협박 메시지)입니다. 지난 12일부터 전 세계에 랜섬웨어(중요 파일을 사용할 수 없게 암호화한 뒤 돈을 요구하는 해킹) 테러를 가한 해커들은 복구 조건으로 300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지불하라고 요구하는데요. 왜 현금이 아닌 비트코인을 달라고 하는 것일까요.

비트코인은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란 가명을 쓴 프로그래머가 만든 가상화폐입니다. 실체가 없고 온라인 공개 장부인 블록체인에 거래 내역이 숫자로만 남을 뿐입니다. 거래는 은행 등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익명이 보장된 개인 간(P2P)에 이뤄져 추적이 매우 어렵습니다. 해커 입장에선 통장으로 ‘아날로그’ 화폐를 건네받는 것보다 디지털인 비트코인이 훨씬 더 안전한 거죠.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해 랜섬웨어를 앞세운 사이버 공격이 1년 전보다 4배가량 증가한 하루 평균 4000건에 달했다”며 “익명성을 보장하는 가상화폐의 빠른 증가 속도가 원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전 세계 가상화폐 거래량의 90%를 차지하는 비트코인은 독일과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 공식 화폐로 인정받는 데다 희소성까지 높아 해커들이 손에 넣고 싶어 합니다. ‘채굴’ 방식인 비트코인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면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양이 제한돼 있습니다. 2140년까지 2100만개까지만 발행됩니다. 이미 1600만개가 채굴돼 얼마 남지 않은 거지요.

게다가 유통량이 일정 기준을 넘을 때마다 한 번에 채굴할 수 있는 양이 반감되고, 수학 문제도 점점 어려워집니다. 이 때문에 채굴보다는 거래를 통해 비트코인을 얻으려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유통 초기 1센트도 되지 않았던 비트코인 개당 가격은 최근 1900달러(약 213만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삼성전자 한 주와 맞먹는 몸값이지만 소수점 8자리까지 쪼갤 수 있어 소액 거래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정유신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는 “이미 글로벌 화폐나 다름없는 비트코인은 신속한 결제와 국경을 뛰어넘는 거래의 편리성 등 장점이 많다”며 “그러나 이번 사건에서 보듯 범죄나 탈세 등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범국가적 차원에서 규제 강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7-05-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