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기 분리 후 본체 태워” 동영상… 삼성 “외부 충격으로 배터리 발화”
3분기 영업익 약 6% 감소할 듯국내 교환이 이뤄진 새 갤럭시노트7의 폭발 사례가 신고됐다. 삼성전자는 2일 해당 제품을 수거해 외부 검사업체에 분석을 의뢰, 갤럭시노트7 자체 결함이 아닌 외부 충격 때문에 발화했다는 검증 결과를 받았다.

연합뉴스
갤노트7 판매 재개
2일 서울 강남구의 한 통신사 매장에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이 진열돼 있다. 지난달 2일 배터리 결함에 의한 발화 사고로 판매가 중단된 갤럭시노트7은 이달 1일부터 판매를 재개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날 해당 제품을 수거한 삼성전자는 전세계유해물질검사시험기관(SGS)에 분석을 의뢰, “스마트폰 케이스가 손상될 정도의 강한 외부 충격이 있었고 이 때문에 내부 배터리가 발화됐다”는 결과를 통보받았다. SGS가 X레이·CT 촬영을 진행한 결과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의 상처 부분과 노트7 발화 지점이 일치했다고 삼성전자는 전했다. 스위스 제네바에 본사를 둔 검사·시험·검정·인증 서비스 기업인 SGS는 1955년부터 한국에서 영업하고 있다.
한편 갤럭시노트7 일반 판매가 재개된 1~2일 주말 동안 이동통신 3사를 통해 3만여대가 개통되는 등 갤럭시노트7 흥행이 재현될 조짐이다. 애플의 아이폰7은 이달 하순 이후 국내 상륙할 예정으로 당분간 갤럭시노트7과 지난달 29일 국내 출시된 LG전자 V20 간 프리미엄폰 시장 경쟁 전초전이 진행될 예정이다. V20은 출시 이후 하루 평균 약 5000대씩 개통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갤럭시노트7 리콜에 따른 삼성전자의 일회성 손실을 증권사들은 1조~1조 5000억원 정도로 추정했다. 이에 따라 7일 잠정집계 결과가 발표될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2분기 8조 1400억원에 비해 약 6% 줄어들 것이란 공감대가 시장에 형성됐다. 금융정보업체 FN가이드가 지난달 29일 기준으로 집계한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전망치 평균은 매출 51조 415억원, 영업이익 7조 6441억원이다. 반도체와 가전 부문의 실적이 건재해 스마트폰 사업부문의 손실을 상쇄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10-0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