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영업이익 중 IM부문 비중 ⅓ 수준으로

삼성전자 영업이익 중 IM부문 비중 ⅓ 수준으로

입력 2015-01-29 09:34
수정 2015-01-29 09: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4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가운데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IT모바일)부문의 비중이 3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됐다.

29일 삼성전자가 확정공시한 2014년 4분기 실적을 보면 IM부문 영업이익이 1조9천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영업이익(5조2천900억원)의 37.1%이다.

지난해 2분기까지만 해도 60%를 넘어섰지만, 3분기 42.5%로 급락하더니 4분기에는 30%대로 진입한 것이다.

다만, 연간으로 따지면 전체 영업이익에서 IM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57.8%로 절반을 넘어선다.

IM부문은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갤럭시S2를 출시한 2011년 3분기 이후 12분기 연속 전체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벌어들였다.

특히 2012년 1분기, 2013년 1분기, 2014년 1분기에는 그 비중이 75%를 넘어서면서 삼성전자의 주축을 이뤘다.

IM부문의 빈자리를 채워준 곳은 DS(부품)부문의 반도체총괄(메모리사업부+시스템LSI사업부)이다.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에서 반도체총괄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분기 54.9%, 4분기 50.8%였다. DS부문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은 2010년 이후 처음이다.

IM부문의 4분기 영업이익률은 7.5%로 약 4년 만에 최저점을 찍은 전분기(7.5%)보다는 소폭 높아졌다. IM부문의 연간 영업이익률은 13.0%이다.

영업이익률이 눈에 띄게 개선된 곳은 DS부문의 디스플레이패널 사업이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분기보다 13% 늘었으나, 영업이익이 8배 가까이 증가해 3분기 1.0%이던 영업이익률이 6.7%로 올랐다.

LCD(액정표시장치) 패널 중 고부가 제품 판매가 늘어났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