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ㆍ현대차 제외 상장사 순익 33% 급감

삼성전자ㆍ현대차 제외 상장사 순익 33% 급감

입력 2013-04-02 00:00
수정 2013-04-02 15: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출증가 불구 영업이익률 0.53%P 하락…채산성 악화

글로벌 경기회복이 지연되면서 작년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상당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의 매출은 늘어났지만 이익이 줄어들면서 수익성은 나빠진 셈이다.

더욱이 코스피 상장사 전체 순이익 중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넘어서면서 기업간 양극화는 첨예화됐다.

2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협의회가 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2012회계연도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499개사의 연결실적을 집계한 결과, 영업이익은 95조6천584억원으로 전년(97조6천135억원)보다 2.00%(1조9천551억원) 줄었다.

연결순이익은 65조789억원으로 전년(69조8천826억원) 대비 6.87%(4조8천37억원) 감소했다.

그러나 매출액은 1천776조1천958억원으로 전년보다 7.6%(125조5천305억원) 늘어났다.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준 것은 일부 재벌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대부분 기업들의 채산성 악화로 풀이된다.

실제로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39%, 매출액 순이익률은 3.66%로, 전년보다 각각 0.53% 포인트, 0.57% 포인트 낮아졌다.

분석대상 기업 중 368개사(73.75%)가 당기순이익 흑자를, 131개사(26.25%)가 적자를 기록했다.

연결부채비율은 128.49%로 2011년 말 대비 4.48%포인트 감소했다.

문제는 삼성전자와 현대차 두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크다는 점이다.

두 회사의 영업이익을 합한 액수가 전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2%, 순이익의 경우 50.6%로 절반을 넘는다.

두 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만 보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1.3% 감소했고, 순이익은 33.0%나 급감했다.

코스닥 상장사(607개사)들은 연결기준 순이익이 급감했다.

매출은 103조6천45억원으로 전년 대비 8.82%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5조5천33억원으로 0.32% 줄었고, 순이익은 2조4천794억원으로 20.09% 급감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순이익률 역시 0.49% 포인트, 0.87% 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2012회계연도 개별기준 실적을 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624개사의 매출액은 전년보다 4.56% 늘어난 1천152조9천571억원이었으나, 영업이익은 58조8천441억원으로 3.77% 감소했다.

순이익은 44조6천940억원으로 3.54%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업종의 매출 및 이익증가율이 두드러진 가운데 화학, 운수장비 매출이 소폭 증가한 반면 전기전자, 유통, 음식료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업종의 순이익이 감소하거나 적자 상태가 지속됐다.

코스닥 상장법인도 매출액은 5.23%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2.41%, 순이익은 5.50% 각각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황호진 팀장은 “매출 비중이 큰 전기전자 업종이 성장을 주도했고, 운수장비, 화학제품 등 수출주도 산업의 매출도 소폭 증가했다”고 말했다.

황 팀장은 그러나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철강 등 제품 단가 하락과 원유 등 에너지가격 상승 여파로 전기전자를 제외한 주력업종의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학교 주변 신종 담배 제품 단속체계 전면 재검토”

이숙자 운영위원장(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7일 열린 서울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청소년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전자담배, 니코틴 젤리, 향료 젤리 등 신종 담배 대체제품의 단속 부실 문제를 지적하며, 서울시가 단속 중심의 행정에서 예방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니코틴 젤리나 액상형 전자담배 등은 단순한 식품이 아닌 청소년 흡연의 새로운 진입 경로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의 단속은 여전히 유해식품 관리체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관리 방식으로는 청소년 보호라는 본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실질적 피해 예방 효과도 제한적이라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청소년 흡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속 중심의 사후 대응에서 벗어나 예방 중심의 종합대책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학교·보건소·경찰 등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교육청과 연계한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 사전에 흡연 접근을 차단하는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SNS, 온라인 쇼핑몰, 개인 간 거래 플랫폼을 통해 청소년들이 불법 담배제품을 손쉽게 구매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온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학교 주변 신종 담배 제품 단속체계 전면 재검토”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