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매출은 늘었지만 수익성은 나빠져

상장사 매출은 늘었지만 수익성은 나빠져

입력 2013-04-02 00:00
수정 2013-04-02 12: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한 해 동안 국내 상장기업들의 매출액이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수익성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 회복이 더뎌지면서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 일부를 제외하면 대체로 실적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갑절이 되는 등 잘 나간 업종도 있었지만 에너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대부분 업종은 순이익이 줄거나 적자가 지속됐다.

◇ 매출은 늘었는데 수익성은 떨어져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개별 또는 별도 재무제표를 제출한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699개사 중 분석 가능한 624개사를 분석한 결과 2012년도 매출액은 1천102조6천641억원에서 1천152조9천571억원으로 4.56%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61조1천481억원에서 58조8천441억원으로 3.77% 줄었다. 순이익은 43조1천641억원에서 44조6천940억원으로 3.54% 늘었다.

연결 재무제표를 제출한 499개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매출액은 7.60% 증가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0%와 6.87%씩 감소했다.

상장사들이 장사를 얼마나 잘했는지 나타내는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순이익률은 하락했다.

2012년도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개별기준 5.10%와 3.88%로 전년도 5.55%와 3.91%보다 각각 0.44%포인트와 0.04포인트 줄었다.

1천원짜리 상품을 팔았을 때 51원 조금 넘는 영업이익을 남겼고, 이중 순이익으로 구분되는 금액은 38원 정도라는 의미다.

코스닥 시장 역시 마찬가지 상황이었다.

개별과 별도 재무제표를 제출한 884개사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은 103조7천126억원으로 전년도(98조5천560억원)보다 5.2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5조9천373억원에서 5조7천942억원으로 2.41% 줄었다.

순이익은 3조6천497억원에서 3조4천489억원으로 더 큰 폭(-5.50%)으로 감소했고, 결과적으로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6.02%와 3.70%에서 5.59%와 3.33%로 악화됐다.

연결 재무제표를 제출한 607개사도 매출액은 8.82%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0.32% 줄었고, 특히 순이익의 경우 20.09%나 쪼그라들었다.

◇ 전기전자 독주…이외 대부분 업종 순이익 감소

업종별로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장비, 무선통신 기기 등의 꾸준한 수출에 힘입어 전기전자 업종의 매출 및 이익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개별 재무제표를 제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중 전기전자 업종에 속하는 57개사의 2012년도 매출액은 240조1천426억원으로 전년도(215조5천669억원)보다 11.40% 늘었다.

특히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19조4천330억원과 19조94억원으로 2011년도(영업이익 9조5천302억원, 순이익 9조1천196억원)보다 각각 103.91%와 108.45%씩 급증했다.

석유제품과 자동차, 자동차 부품 등의 수출이 사상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화학, 운수장비도 매출이 2.14%와 1.97%씩 늘었다. 다만 두 업종의 영업이익은 43.22%와 19.15%씩 크게 줄었다.

하지만 에너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유통과 음식료, 종이목재 등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 대부분은 순이익이 감소하거나 적자가 지속됐다.

기계 업종에 속한 39개사의 순이익은 2011년 7천404억원에서 2012년 -1천264억원으로 적자 전환했고, 통신업과 철강금속은 순이익이 각각 38.01%와 17.40%씩 줄었다.

서비스업과 섬유의복도 순이익 감소폭이 41.17%와 50.81%에 달해 이익이 반토막 났다.

거래소 관계자는 “총량적으로 볼 때는 매출액은 늘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 증시에서 삼성전자 등 일부 시총상위주가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들 종목을 빼고 본다면 나머지 기업의 상황은 더욱 안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글로벌 경기 회복이 더뎌지면서 작년도 수출이 4.2%밖에 성장하지 못하는 등 부담이 컸던 것이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