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식생활, 영양과잉·불균형 심각”

“국민 식생활, 영양과잉·불균형 심각”

입력 2012-07-05 00:00
수정 2012-07-05 13: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지부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 수립

우리 국민 가운데 영양섭취가 부족한 사람은 전체의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에너지·지방을 과잉 섭취하는 사람들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5일 ‘제1차(2012~2016년) 국민영양관리 기본계획’의 수립 배경이 된 ‘2010 국민건강통계’를 분석한 결과 영양과잉 및 섭취 부족, 영양소 섭취 불균형, 비만율 증가 등 국민 영양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 통계에서 눈에 띄는 것은 영양 섭취가 부족한 사람들이 전체의 10% 가량인 반면 에너지·지방을 과잉 섭취하는 사람들은 갈수록 증가한다는 점이다.

특히 나트륨 과잉 섭취, 칼슘·비타민의 섭취 부족 등 영양소별 섭취의 불균형 문제가 심각했다. 나트륨의 경우 평균 섭취량이 충분 섭취량의 3배(2010년 341.9%)를 초과했다. 연도별 나트륨의 충분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은 2007년 315.7%, 2008년 327.5%, 2009년 328.0%, 2010년 341.9% 등으로 늘었다.

2010년 칼슘 섭취부족 인구는 65%를 초과했으며, 단백질·인을 제외한 대부분 영양소의 섭취부족 인구도 25%를 넘어섰다.

비만율은 10년전에 비해 크게 늘었다. 성인의 경우 비만율이 1998년 26.0%에서 2010년 30.8%로 4.8%p 늘었다. 아동의 경우도 6~11세가 1998년 5.8%에서 2010년 8.8%, 12~18세가 1998년 9.2%에서 2010년 12.7%로 각각 증가했다.

아침식사 결식률은 2005년 이후 2010년까지 평균 약 21%의 수준으로 줄지 않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 및 20대의 결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중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를 읽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24.9%에 불과했으며, 최근 1년 내 영양교육이나 상담을 받아 본 경험이 있음을 의미하는 영양교육 수혜율도 5% 수준이었다.

복지부는 ‘제1차 국민영양관리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영양표시제도 대상 확대, 국민의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한 생애주기별 영양관리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 영양관리 식생활 행태조사, 식품 규제와 영양 정책의 기반이 되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제·개정 등 영양관리 정책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