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지는 한국 우주 상업화 시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는 한국이 발사체를 이용한 위성 발사 대행과 같은 우주산업에 뛰어들 준비가 완료됐음을 의미한다. 앞서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의 3차 발사와 누리호 3차 발사에서와 달리 13개의 위성을 탑재했다는 점, 민간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작 총괄 관리와 발사 공동 운용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우주 상업화를 앞당기고 독자적인 우주 수송 시대를 열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는다.●누리호 추가 발사로 우주 수송 본격화
정부는 4차 발사 외에 2027년까지 2차례 더 누리호를 발사해 독자적인 위성 발사 서비스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2026년 5차 발사에서는 초소형 위성 2~6호, 2027년 6차 발사에서는 초소형 위성 7~11호기를 탑재할 예정이다.
●재사용 발사체 개발해 달 착륙선 투입
누리호보다 성능이 우수한 발사체를 만들기 위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도 2023년 7월 시작됐다. 당초 차세대 발사체는 누리호보다 더 먼 우주를 향하기 때문에 액체산소-케로신(등유) 기반 2단형 발사체로 개발될 계획이었다. 우주항공청은 지난 25일 ‘제4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차세대 발사체 개발과 관련한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원래 일회용 발사체를 고려했으나 스페이스X의 ‘팰컨9’처럼 재사용이 가능한 발사체를 개발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케로신 대신 그을음이 적은 메탄 기반 재사용 발사체로 선회하기로 했다.
3단으로 구성된 누리호보다 단수는 줄어든 2단 발사체로 개발되지만, 추력은 많이 늘어난다. 차세대 발사체는 600~800㎞ 상공인 지구 저궤도에는 10t, 달 탐사·착륙선 궤도에는 1.8t의 화물을 보낼 수 있도록 설계됐다. 2030년에 달 궤도에 투입하는 성능검증 위성을 시험 발사한 뒤 본격적인 첫 임무는 2031년 달 착륙선 예비모델(PFM) 발사다. 이듬해인 2032년에는 달 착륙선 최종 모델을 발사할 계획이다.
2025-11-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