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국가산업단지현황. 새만금개발청 홈페이지 참조
한중 산업협력단지의 중국 쏠림 현상이 심화한 가운데 APEC 한·중 정상회의에서 ‘새만금 RE100 산업단지 조성’이 언급돼 관심이 쏠린다.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중국의 새만금에 대한 관심을 투자 유치로 이어가겠다는 구상이다.
4일 새만금개발청 등에 따르면 한중 산업협력단지는 지난 2014년 한·중 정상회담 공동성명으로 시작됐다. 국내는 새만금, 중국은 옌타이·연청·후이저우 등 총 4곳이 지정됐다. 이후 중국 산단에는 600개가 넘는 국내 기업이 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새만금 한·중 산단에 투자한 중국기업은 지이엠, 룽바이, 새먼텅스텐, 에스씨, 에스이머트리얼즈, 에이원신소재 등 단 6곳에 불과하다. 양국 동반 성장이라는 목적과 달리 투자가 중국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이런 가운데 이달 초 APEC 정상회의에서 ‘새만금 산단 투자’가 깜짝 등장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정상회담 의제로 새만금에서 RE100 산업단지를 한·중이 협력해 조성하는 내용의 ‘민생분야 실질협력 성과사업’을 논의했다. 중국 기업들로 구성된 일명 ‘투자조사단’도 새만금에 파견될 예정인 것으로 파악된다.
전북도와 새만금청은 새만금 산단에 대한 중국의 관심을 놓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도는 이번 사업과 정부의 RE100 산업단지 지정 정책과 연계해 새만금을 재생에너지 기반의 첨단산업 거점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풍력·태양광 등 새만금의 풍부한 에너지 자원을 활용해 AI·미래모빌리티·에너지산업 등 신산업 중심의 RE100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기업투자와 기술협력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김관영 도지사는 “전북특별자치도와 산업통상부 및 관련 부처 협력이 한·중 정상 간 성과사업으로 이어진 것은 새만금이 글로벌 산업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라며 “정상회담 이후에도 정부 부처 및 중국 측과의 실무협의를 통해 새만금 RE100 산업단지 조성사업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새만금청도 중국 기업 유치를 위한 강력한 유인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김의겸 청장은 앞서 지난달 30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 최고경영자 회의’(CEO Summit)에 참석해 “새만금은 풍부한 재생에너지, 저렴한 부지, 민원 부담이 적은 지역적 장점이 있다”며 투자를 요청하기도 했다.
새만금청 관계자는 “한·중 공동 새만금 RE100 협력사업은 전북도가 산업통상부 등 관련 부처에 건의한 내용”이라면서 전북도와 중국 측에서 구체적 사업모델이 들어오면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