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 돌린 한화… ‘오너 공백’ 메운 비상경영위 당분간 유지

한숨 돌린 한화… ‘오너 공백’ 메운 비상경영위 당분간 유지

입력 2013-09-27 00:00
업데이트 2013-09-27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룹 반응은

한화그룹은 일단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혐의를 모두 벗은 것은 아니지만 최악의 상황은 면했기 때문이다. 현재 한화의 비상경영 체제는 당분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부재로 사업 진행에 차질을 빚고 있는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공사 현장을 찾은 김연배(앞줄 가운데) 한화투자증권 부회장이 직원들을 격려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한화그룹 제공
지난 7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부재로 사업 진행에 차질을 빚고 있는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공사 현장을 찾은 김연배(앞줄 가운데) 한화투자증권 부회장이 직원들을 격려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한화그룹 제공


한화그룹은 대법원1부의 파기환송 결정 이후 “대법원의 판단을 존중한다”면서 “앞으로 진행될 심리에서 소명할 부분은 적극 소명하겠다”는 짧은 논평을 냈다. 이날 결과에 대해서는 일단 만족하지만, 고등법원의 재심리가 남아 있는 만큼 성실하게 최종 선고를 기다리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재계 관계자는 “한화그룹이 혐의 확정 및 형 집행 등은 면했지만 모든 게 종료된 것은 아니다”면서 “또 27일 고법의 선고 공판을 앞두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재판도 섣불리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화그룹은 김 회장의 법정구속 이후 지난 4월 출범한 원로 최고경영인(CEO) 3인의 비상경영위원회를 당분간 그대로 유지할 방침이다.

김 회장이 혐의를 모두 벗은 게 아닐 뿐만 아니라, 김 회장이 조울증과 호흡 곤란 등 병세로 여전히 서울대병원에 입원치료를 받는 탓에 어떠한 경영 판단도 할 수 없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비상경영위는 그룹의 금융·제조·서비스 등 부문에 대해 김연배 한화투자증권 부회장(위원장), 홍기준 한화케미칼 부회장, 홍원기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사장 등 3명이 각각 분담해 최고의사결정기구로 활동하고 있다.

여기에 최금암 그룹 경영기획실장이 실무총괄을 맡고 있다. 원로 경영인들은 김 회장 부재에 따른 대규모 투자, 신규사업 계획 수립, 주요 임원 인사 등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에 따라 비상경영위원들은 전남 여수와 충북 오송 등 국내 사업장은 물론, 중국의 한화솔라원 공장과 말레이시아의 한화큐셀 공장 등을 잇달아 방문하고 경영 상태를 챙기며 현지 직원들을 격려했다. 특히 80억 달러(8조 5960억원)가 걸려 있는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공사 현장을 방문하고, 이라크 정부 관계자를 만나 사업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다. 대통령 해외순방 때에도 경제사절단의 일원으로서 김 회장을 대신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너십 체계가 어느 대기업 집단보다 강하다는 한화그룹에서는 전문 경영인들의 권한이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받았다. 경영 상황을 점검하고 직원들의 사기를 높일 수 있지만, 핵심적인 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등은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미룰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는 상반기 경영실적의 악화에 일부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한화는 올 상반기에 매출 18조 7925억원, 영업이익 3887억원, 순이익 1312억원 등 실적을 냈다.

김 회장의 부재에도 공장은 돌아가니까 매출은 지난해(16조 6583억원)보다 2조원가량 늘었으나, 영업이익(지난해 7146억원)과 순이익(3186억원)은 각각 3259억원, 1874억원 등으로 지난해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다.

세심한 부분까지 챙기면서 수익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경영활동은 아무래도 오너십과 더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9-27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