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는 19일 정품 시가 규모 600억원대의 ‘짝퉁’ 명품 가방과 지갑을 제조하거나 밀수한 뒤 일본에 몰래 수출한 정모(43)씨 등 2명을 상표법 및 관세법 위반 혐의로 구속하고 박모(46)씨 등 9명을 상표법 위반 혐의로 입건했다.
이들은 2005년 10월부터 최근까지 루이비통·샤넬·구찌·프라다·버버리 등의 상표를 붙인 가짜 A급 명품 가방과 지갑 9만 9000여점을 중국에서 수입하거나 국내 공장에서 직접 만들어 국내와 일본에 유통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 일본에는 9600여점을 밀수출했다. 조사 결과 짝퉁을 진품의 30% 가격에 판매하고 60억여원의 이익을 남겼다.
중국에서 몰래 들여온 2만~3만여점을 제외한 나머지 제품은 서울 관악구 신림동의 박씨 공장에서 제조됐다. 22년 경력을 가진 박씨는 2005년부터 정씨의 주문에 따라 진품과 거의 다름없는 A급 짝퉁을 만들어 납품했다.
특히 일본 밀수출 과정에서는 정식 수출품처럼 꾸미기 위해 다른 정상 수출품의 선적용 상자에 끼워 넣는 속칭 ‘알박기’ 수법을 썼다. 정씨가 짝퉁을 선적용 상자에 담아 1t 화물차에 싣고 공용주차장에 차 열쇠를 꽂아둔 채 주차해 놓으면 선적업자는 물건을 컨테이너 박스의 정식 수출품 사이에 실은 뒤 빈 차만 갖다 놓았다. 경찰은 정씨가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경기 남양주에 수출 선적용 박스포장 및 제습 시설까지 갖춘 초대형 물류창고도 운용했다고 밝혔다.
정씨는 경찰의 단속을 피하기 위해 밀수 과정에서 통장 없이 현금으로만 거래한 데다 수금 때문에 한 달에 한 번꼴로 일본에 다녀왔다. 납품 과정에서도 심야에 공터 등에서 직접 만나 물건과 현금을 맞교환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정씨는 영업 확장을 위해 경쟁 짝퉁 조직을 의류산업협회 지식재산권보호센터에 제보해 단속을 유도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이들은 2005년 10월부터 최근까지 루이비통·샤넬·구찌·프라다·버버리 등의 상표를 붙인 가짜 A급 명품 가방과 지갑 9만 9000여점을 중국에서 수입하거나 국내 공장에서 직접 만들어 국내와 일본에 유통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 일본에는 9600여점을 밀수출했다. 조사 결과 짝퉁을 진품의 30% 가격에 판매하고 60억여원의 이익을 남겼다.
중국에서 몰래 들여온 2만~3만여점을 제외한 나머지 제품은 서울 관악구 신림동의 박씨 공장에서 제조됐다. 22년 경력을 가진 박씨는 2005년부터 정씨의 주문에 따라 진품과 거의 다름없는 A급 짝퉁을 만들어 납품했다.
특히 일본 밀수출 과정에서는 정식 수출품처럼 꾸미기 위해 다른 정상 수출품의 선적용 상자에 끼워 넣는 속칭 ‘알박기’ 수법을 썼다. 정씨가 짝퉁을 선적용 상자에 담아 1t 화물차에 싣고 공용주차장에 차 열쇠를 꽂아둔 채 주차해 놓으면 선적업자는 물건을 컨테이너 박스의 정식 수출품 사이에 실은 뒤 빈 차만 갖다 놓았다. 경찰은 정씨가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경기 남양주에 수출 선적용 박스포장 및 제습 시설까지 갖춘 초대형 물류창고도 운용했다고 밝혔다.
정씨는 경찰의 단속을 피하기 위해 밀수 과정에서 통장 없이 현금으로만 거래한 데다 수금 때문에 한 달에 한 번꼴로 일본에 다녀왔다. 납품 과정에서도 심야에 공터 등에서 직접 만나 물건과 현금을 맞교환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정씨는 영업 확장을 위해 경쟁 짝퉁 조직을 의류산업협회 지식재산권보호센터에 제보해 단속을 유도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