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용
강동용 기자
경제 정책을 취재하고 있습니다. kdy@seoul.co.kr
기획·연재
  • 숫자로 읽는 세상
주간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車·반도체 호조… 6월 생산·소비 반등

    산업생산이 3개월 만에 반등했다.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내수에도 모처럼 온기가 돌았다.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되면서 경기 회복에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내다봤다.통계청이 31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全) 산업생산지수(계절 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8(2020년=100)로 전월보다
  • 농산물 개방, 한미 엇갈린 해석… 여한구 “추가 개방은 없다”

    농산물 개방, 한미 엇갈린 해석… 여한구 “추가 개방은 없다”

    트럼프 SNS에 “韓, 농산물 등 수용”김용범 “정치인의 표현으로 이해”여 본부장 “정치적 민감 사안 주장”美소고기 수입 세계 1위 설득 먹혀과채류 검역 등 비관세 압박 변수사과·LMO 감자 등 수입 확대 우려쌀과 소고기 시장을 개방하라는 미국의 거센 압박을 정부가 견뎌냈다. 통상당국은 상호관세 발효 데드라인(8
  • 농업인단체 “쌀·소고기 추가개방 없어 다행…위협 막아냈다”

    농업인단체 “쌀·소고기 추가개방 없어 다행…위협 막아냈다”

    한미 통상협상에서 정부가 미국의 쌀과 소고기 시장 개방 요구를 막아내면서 국내 농업계는 그간의 우려를 한시름 덜어내게 됐다. 단체들은 협상 결과에 환영 입장을 드러내면서도 앞으로의 협상 과정에서 미국의 추가 요구를 단호히 끊어내야 한다고 촉구했다.트럼프위협저지공동행동과 농민의길 등 농업인단체는 31일 서울 종로구
  • 베트남서 귀한 참외·멜론·딸기 ‘주렁’…기술 넘어 한국 품종도 뿌리 내린다

    베트남서 귀한 참외·멜론·딸기 ‘주렁’…기술 넘어 한국 품종도 뿌리 내린다

    약 3600평 70% 정부서 투자받아바깥 40도에도 온실은 ‘과일 맞춤’새달 닥락성 지역에 새 농장 완공 먼저 터 잡은 일본 딸기 대체 목표스마트팜 4년 내 연 1조원대 수출“해외 진출을 위해선 스마트팜 기술과 재배 기술, 품종을 결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합니다.”지난 7일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 코피아, 한·베트남 ‘농업 케미’ 일등 공신… 기술 보급 외 유통 등 협력 확대

    코피아, 한·베트남 ‘농업 케미’ 일등 공신… 기술 보급 외 유통 등 협력 확대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코피아) 베트남센터는 코피아 진출 국가 중 가장 큰 성과를 거둔 곳입니다.”조명래(66) 코피아 베트남센터 소장은 지난 7일 베트남 하노이의 ‘베트남농업과학원’(VAAS)에서 서울신문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농촌진흥청 국제협력과장과 원예작물부장을 거친 그는 지난해 1월부터 베트남센
  • 美 고관세 없으면 올 세계 성장률 0.2%P↑… 한국은 0.2%P 떨어져 3개월 새 1% 무너져

    美 고관세 없으면 올 세계 성장률 0.2%P↑… 한국은 0.2%P 떨어져 3개월 새 1% 무너져

    세계 각국 금융 완화·재정 늘려韓, 탄핵·통상 위기 더 둔화할 듯추경효과로 내년 전망치는 높여미국이 8월 1일 이후 세계 각국에 인상된 상호관세를 부과하지 않으면 글로벌 경제가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그럼에도 올해 한국경제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에 따른 대통령 탄핵 사태와 미국발 통상 위
  • 마약 스며든 한국… 상반기에만 9000만명분 적발

    마약 스며든 한국… 상반기에만 9000만명분 적발

    1년 만에 8배 불어나 역대 최대치美·캐나다 국경 강화에 ‘풍선효과’올해 상반기 마약 적발량이 1년 만에 8배 급증하며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 미국과 캐나다의 국경 단속 강화에 따른 ‘풍선 효과’로 중남미 마약 카르텔이 새로운 시장인 한국까지 침투한 결과로 분석된다.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국경 단계에서 적발된 마약
  • 외국인 덕분에 인구 늘었다… 첫 200만명 돌파

    외국인 덕분에 인구 늘었다… 첫 200만명 돌파

    내국인 감소세 4년 연속 이어져외국인은 11만명 늘어 4% 차지 15~64세 생산인구 28만명 감소65세 이상 노인 첫 1000만 돌파1인가구 805만명… 전체의 36%외국인 인구가 처음 200만명을 넘어섰다. 내국인 감소세가 4년 연속 이어졌음에도 ‘총인구 마이너스’를 가까스로 면했다. 저출산·고령화와 맞물려
  • 美 상호관세 부과 안 하면 세계 경제 성장세로 돌아선다

    美 상호관세 부과 안 하면 세계 경제 성장세로 돌아선다

    미국이 8월 1일 이후 세계 각국에 인상된 상호관세를 부과하지 않으면 글로벌 경제가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그럼에도 올해 한국경제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에 따른 대통령 탄핵 사태와 미국발 통상 위기 영향으로 더 둔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두 차례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전 국민 소비쿠폰 지급
  • 車 이어 반도체 관세 초비상… 정부, EU처럼 ‘원샷딜’ 추진

    車 이어 반도체 관세 초비상… 정부, EU처럼 ‘원샷딜’ 추진

    러트닉 美상무 “2주 뒤 반도체 관세” 압박에품목 관세까지 협상 테이블에 올리고 논의EU, 상호관세 포함 차·반도체 15%로 합의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25% ‘상호관세’ 부과(8월 1일)를 앞두고 한국 정부가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조치까지 한꺼번에 협상 테이블에 올려 논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수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