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변화가 부른 대한민국 가족의 재구성… 100명 중 6명 혼외 출생, 1000만 가구 나홀로族

인구 변화가 부른 대한민국 가족의 재구성… 100명 중 6명 혼외 출생, 1000만 가구 나홀로族

한지은 기자
입력 2025-08-28 00:56
수정 2025-08-28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2024년 출생 통계

비혼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
인구 줄어도 가구수는 더 늘어

65세 이상 20% 넘어 고령화
평균 나이 45.7세 역대 최고 기록
“다양한 가족 위한 안전망 구축을
이미지 확대


한국 사회가 인구 구조의 거대 변곡점에 섰다. 지난해 태어난 아기 100명 중 6명은 혼인 외 관계에서 태어났고, 1인 가구는 1000만 가구를 돌파했다. 국민 평균 나이는 45.7세로 치솟아 ‘고령사회’의 그림자가 더 짙어졌다. 단순한 출산 장려책을 넘어 다양한 가족 형태를 보듬을 수 있는 새로운 사회 안전망의 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까닭이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4년 출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외 출생아는 1만 3800명으로 전체 출생아의 5.8%를 차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불과 10년 전 2% 수준에서 2022년 3.9%, 2023년 4.7%로 최근 급격한 증가세다.

박현정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관련 조사에서 ‘결혼하지 않아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응답 비율이 2018년 21.5%에서 2024년 37.2%로 많이 증가하는 등 인식이 변화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결혼이 출산의 전제라는 관념이 흔들리고 있다.

이런 변화는 인구와 세대 구조에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행정안전부가 이날 발간한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주민등록 인구는 5122만명으로, 2020년(5183만명)보다 약 61만명 줄며 5년 연속 감소했다. 그러나 전체 가구 수는 2411만 가구로 같은 기간 약 100만 가구 늘었다. 1인 가구가 2020년 900만 가구(39.2%)에서 4년 만에 1012만 가구(42%)로 불어나며 전체 증가를 이끌었다. 반면 전통적 형태인 4인 가구는 같은 기간 461만 가구에서 394만 가구로 줄었다.

가구·가족 구조의 변화와 함께 고령화 추세도 뚜렷하다. 지난해 7월 기준 한국인의 평균 나이는 45.7세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65세 이상 인구는 1060만명(20.7%)으로 전체의 5분의 1을 넘어섰다. 가족의 돌봄 기능이 약화하는 상황에서 고령화까지 겹쳐 사회적 부담이 점점 커지는 모양새다.

다만 아이 울음소리는 1년째 커지고 있다. 통계청의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6월 출생아는 1만 9953명으로 전년보다 1709명(9.4%) 늘었다.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혼인 증가와 30대 여성 인구 증가, 출산 인식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인구 구조적 요인에 따른 효과가 옅어지면 추세적 반등이 아닌 ‘반짝 증가’에 그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허민숙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법률혼이 아닌 상태에서 출산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국가가 인정하고 다양한 가족 형태를 포섭할 사회 안전망을 고민해야 한다”며 “출산율 상승세를 이어가려면 난임 치료나 정자 공여 등 법률혼 관계나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여성만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을 개선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08-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