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은 증세논쟁] 靑, 비서실장 교체후 당·청 시스템 변화 모색

[불붙은 증세논쟁] 靑, 비서실장 교체후 당·청 시스템 변화 모색

입력 2015-02-05 00:10
업데이트 2015-02-05 0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론 들으며 개각·인사 내주로 인적 쇄신후 당과 대화 나설 듯

개각과 청와대 추가 인사가 다음주로 미뤄지는 분위기다. 4일 여권의 한 주요 인사는 “원내대표 경선 직후 인사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으나 이번 주에는 인사를 내기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발표 시기는 외부적 요인에서라기보다는 청와대 내부의 형편과 계획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한다. ‘인사의 폭을 늘리라’는 새누리당의 요구를 수용하느라 인사가 늦어지는 상황은 아니라는 얘기다. 이날 여당의 인적쇄신 요구와 증세 없는 복지 비판에 대해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증세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인사권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고유 권한으로 우리가 얘기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청와대는 지난 2일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을 계기로 쏟아지는 당의 이런저런 요구들에 즉각적인 대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여당의 소리에 충분히 귀 기울이되, 정부로서도 나름의 시간표가 있는 것 아니냐”는 반응들이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지난 2일 박근혜 대통령이 윤두현 홍보수석을 통해 내놓은 메시지에 기본적인 골격이 담겨져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당시 “당·정·청 협의를 통해 정책을 잘 조율해 국민에게 염려를 끼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청와대는 일단 비서실장 교체로부터 시작해 개각이 완료되고 나면 당·청 간에 좀 더 효율적인 대화와 협력의 시스템이 갖춰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의 당·청 관계는 김기춘 비서실장이 구축한 체계에서 형성된 것이므로 새로운 인물이 오면 자연스럽게 변화가 오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나아가 ‘원조 친박(친박근혜)’을 자처하는 유승민 신임 여당 원내대표는 청와대 주요 실무진들과 항시적이고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갖고 있어 외부에서 보는 것과는 달리 과거 어느 원내대표 때보다 협력적인 관계를 만들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신임 비서실장에는 권영세 주중대사, 황교안 법무장관, 김병호 언론재단 이사장 등이 주로 거론되고 있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5-02-05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