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이달부터… 규모 파악 중”
러, 종전 전 쿠르스크 탈환 목표
北, 경제·군사원조 최대 확보 노려


북한이 러시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추가 파병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27일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일대에서 임진강 물새들이 날아 가고 있다. 2025.2.27 연합뉴스
북한이 러시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들어 일부 추가 파병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국가정보원이 27일 밝혔다.
국정원은 “북한군이 약 한 달간의 소강 국면을 지나고 이달 첫 주부터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 다시 투입됐다”며 “일부 추가 파병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규모는 계속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군 관계자도 “올해 1~2월 중 북한군 병력이 러시아로 이동했다”며 “북한은 추가로 러시아에 병력을 보낼 준비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이번에 추가로 전선에 투입된 인원은 1000~3000명 규모로 전해졌다. 러시아 측의 화물선과 군용기편으로 쿠르스크 전선에 신규 배치됐고, 1차 파병 때는 없던 기계화 보병·공병·전자정찰 병과도 포함됐다는 관측도 나왔다.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종전을 위한 협상이 속도를 내는 상황이라 러시아와 북한 모두에 북한군 추가 파병 필요성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러시아는 종전 협상 전에 최대한 쿠르스크를 탈환해야 하고, 북한도 러시아로부터 더욱 큰 ‘반대급부’를 받아 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중구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최대한 경제·군사적 원조를 얻어 내려 할 것”이라며 “전쟁이 끝나면 북러의 ‘거래적 관계’가 약화할 수 있어 추가 파병으로 보다 안정적 관계를 유지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측에 북러 간 군사 협력 자제를 요청하는 등 메시지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0월 총 1만 1000여명 규모의 병력을 러시아에 보냈다. 파병 북한군들은 서부 쿠르스크 전선에 투입됐는데,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한 뒤 지난달쯤 전선에서 물러난 것으로 관측됐다. 우크라이나 당국 등에 따르면 약 4000명의 북한군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정부는 올해 들어 북한의 추가 파병 가능성을 계속 예의주시해 왔다. 통일부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전투력 유지와 교체 인력 투입 등의 목적으로 추가 파병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2025-02-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