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희 작가 ‘리전 클리클럽’ 출간

독서일가 제공
일제강점기 ‘조선 신여성의 민요합창’ 신드롬을 일으킨 이화여자전문학교 합창단이 되살아난다. 신문기자 출신 양선희 작가가 내놓은 장편소설 ‘리전 글리클럽’(독서일가)을 통해서다.
소설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픽션이다. 1927~1935년 실재했던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 글리클럽’을 조명한다. 1886년 개교한 이화학당은 1925년 문과와 더불어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과를 갖춘 여성 전문학교로 재편된다. 이때 우리 민요를 전통문화의 요체로 본 음악과는 국악 연구 및 글리클럽(합창단)을 커리큘럼으로 도입했다. 그리고 1928년 경성공회당에서 이뤄진 이화여전 글리클럽의 ‘방아타령’ 합창 공연은 큰 파장을 일으킨다. 이후에도 이화여전 글리클럽은 메리 영 선교사와 안기영 교수의 주도로 ‘조선민요합창곡집’을 발간하고 앨범도 제작하는 한편, 전국 순회공연에 나선다.
이화여전 글리클럽의 활동이 마냥 환영과 지지를 받은 것은 아니다. 일제와 일부 조선의 지식인들이 우리 민요를 ‘기생 노래’로 폄훼하는 분위기 속에 미션스쿨 여학생의 민요 합창은 기생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비난을 샀다. 국내 음악계로부터는 전통음악을 오선보에 옮기고 합창곡으로 편곡하는 등 서구화했다는 이유로 따가운 시선을 받기도 했다.
소설은 사실과 상상력을 교차시키며 이화여전 글리클럽의 저항과 연대, 그리고 성장 이야기를 재구성한다. 또한 유관순 열사를 비롯해 수많은 일제 치하 근대 조선 여성들의 고통과 희망, 우정 등을 되살린다. 마침 소설이 나온 올해는 이화여대 음악대학 설립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기도 하다.
작가는 30여년간 업(業)이었던 신문기자에서 은퇴한 뒤 대학 강단에서 저널리즘 강의를 하는 한편, 소설 등 글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284쪽. 1만 7700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