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보다 17% 늘어난 1330조원
美소비자 수입품 소비 강세 한몫


미국 달러화.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달러화 강세 역풍으로 지난해 미국 무역 적자가 9184억 달러(약 1330조원)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17%에 이른다.
미 상무부는 5일(현지시간) 자국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자동차 부품, 체중 감량 약물, 컴퓨터, 식품 등을 해외에서 대량으로 사들이면서 수입이 전년보다 6.6% 증가해 역대 최대인 4조 1100억 달러(5952조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출도 3.9% 늘어 역대 최대인 3조 1916억 달러(4622조원)에 이르렀지만 강달러로 인해 수입이 늘어나는 폭을 따라가진 못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적자를 상대국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 탓이라고 보기 때문에 사상 최대 적자는 관세정책을 밀어붙이는 동력이 될 전망이다. 국가별 대미 무역 흑자 폭은 중국이 2954억 달러로 가장 컸고, 유럽연합(EU)(2356억 달러), 멕시코(1718억 달러), 베트남(1235억 달러), 아일랜드(867억 달러) 순이었다. 한국은 660억 달러로 9번째였다.
트럼프 1기부터 이어진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정책이 효과를 보면서 2023년에는 멕시코가 20년 만에 미국으로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가 됐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미국 자동차와 부품, 엔진의 수출이 줄면서 다시 중국이 대미 무역 흑자가 가장 큰 나라가 됐다. 특히 아일랜드는 비만 치료제 수출로 미국과의 무역이 급속히 늘었다.
올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선포로 세계 무역 규모가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코넬대 교수는 뉴욕타임스에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적자 폭이 큰 국가를 상대로 관세를 부과하려 들 것”이라고 밝혔다.
2025-02-0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