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달에 인류 상주기지 건설 목표98m 건물 32층 높이 로켓 ‘SLS’
유인 캡슐 ‘오리온’ 싣고 42일 비행
2024년 유인비행·2025년 달 착륙
한국도 작년부터 프로젝트 참여

플로리다 AP 연합뉴스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케네디 우주센터에 달의 궤도를 다녀올 아르테미스 1호 로켓이 우뚝 서 있다. 마네킹 3개를 태운 아르테미스 1호는 29일 오전 8시 33분(한국시간 오후 9시 33분)에 발사될 예정이다.
플로리다 AP 연합뉴스
플로리다 AP 연합뉴스
미 항공우주국(NASA)은 아르테미스 로켓이 발사 46시간여를 앞둔 27일(현지시간) 오전 9시 53분 공식 카운트다운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아르테미스 1호는 1972년 아폴로 17호 뒤 50여 년 만에 재개하는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의 첫 번째 비행 미션이다. 발사 시각은 29일 오전 8시 33분(한국시간 오후 9시 33분)으로,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KSC) 39B 발사대에서 사상 최강의 추진력을 자랑하는 대형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의 동력을 받아 달을 향해 나아간다.
이 발사체에는 유인 캡슐인 ‘오리온’이 실린다. 42일에 걸쳐 달 궤도까지 다녀오는 시험 비행이다. 아르테미스 1호는 발사 뒤 약 90분이 지나면 달로 향하는 궤적에 진입한 후 지구와 달 사이 거리(39만㎞)보다 먼 45만㎞ 지점까지 날아갔다가 돌아온다. 지구 귀환 시점은 10월 10일이다.
다만 이 오리온에는 실제 사람 대신 우주복을 입은 마네킹 3개를 태운다. 총길이 98.1m로 32층 건물 높이인 SLS가 오리온을 달 전이궤도에 제대로 올려놓는지 점검한다. 실제 사람이 타기에 앞서 마네킹을 태워 달 궤도를 다녀오는 게 안전한지 알아보겠다는 것이다. 마네킹은 뼈와 장기, 연조직 등 인체 조직과 같은 물질로 만들어졌으며 센서 5600개, 방사능 감지기 34개가 장착돼 대기권에 진입할 때 고열을 견딜 수 있는지 등을 테스트한다.
첫 번째 단계가 성공하면 2단계인 2024년에는 실제 우주인을 태우고 시험 비행을 한다. 3단계인 2025년엔 최초의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가 달에 착륙해 달 표면에 머무르며 과학 임무를 수행한다. NASA는 이를 바탕으로 달 우주정거장과 기지를 구축해 장기적으로 사람이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화성 등 더 먼 행성으로 탐사를 가겠다는 계획이다. NASA는 악천후나 기술적 결함에 대비해 9월 2일과 5일을 예비 발사일로 정해 놓았다.
미국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아르테미스 계획에 한국은 지난해 열 번째 국가로 참여했다. 현재는 21개국이 이 계획에 참여하고 있다. 이번 미션이 성공하면 십수년 안에 달에서 자원을 캐는 등 달 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2022-08-2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