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력은 9월인데 거리는 여전히 여름의 열기에 눌려 있다.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한 듯하다가도 한낮 햇볕이 땀을 불러낸다. 계절은 분명 바뀌었는데, 도무지 실감이 나지 않는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을 빌려 말하자면 ‘추래불사추’(秋來不似秋), 가을이 왔으되 가을 같지 않은 요즘이다.
옷차림도 제각각이다. 지하철 안에서는 반소매 차림으로 부채질하는 사람과 얇은 재킷을 여민 사람이 나란히 앉아 있다. 계절의 경계가 무너진 모습은 이제 낯설지 않다.
하지만 가을은 분명 스며들고 있다. 저녁 햇살은 긴 그림자를 만들고, 매미 소리는 잦아지고 귀뚜라미 울음도 간간이 들린다. 골목 담장 너머 코스모스가 바람에 흔들리고, 대추는 조금씩 붉은 기운을 띠기 시작한다. 느리지만 꾸준히 계절은 앞으로 나아간다.
가을 같지 않은 가을, 그 모순 속에 우리의 일상이 비친다. 변화는 이미 시작됐지만 체감은 늦고, 기다림 속에야 비로소 실감이 찾아온다. 어느 날 문득 완연한 가을이 다가와 있듯, 우리의 희망도 더디지만 그런 날을 기대한다.
오일만 논설위원
2025-09-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