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오션이 건조한 200번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인 SK해운의 ‘레브레사’호.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이 200번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인도했다. 한 조선사에서 LNG 운반선을 200척 이상 인도한 건 세계 최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LNG 프로젝트를 재개하면서 LNG 운반선 건조 역량을 보유한 ‘K조선’업계가 혜택을 받을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화오션은 회사가 건조한 200번째 LNG 운반선인 ‘레브레사’호를 SK해운에 인도했다고 20일 밝혔다. 전 세계 조선사에서 LNG 운반선을 200척 이상 인도한 건 한화오션이 처음이다.
LNG 운반선은 중국이 아직 기술력을 따라잡지 못한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꼽힌다. 한화오션은 1995년 첫 LNG 운반선을 인도한 이후 30년 만에 200척을 만들었다. 2016년 100번째 LNG 운반선을 인도한 이후 200번째 LNG 운반선은 9년 만에 달성해 건조 기간을 대폭 줄였다.
한화오션은 하나의 도크(공간)에서 배 4척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어 연간 최대 25척의 LNG 운반선 건조가 가능하다. 현재 한화오션은 전 세계 LNG 운반선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LNG 프로젝트를 다시 시작하면서 LNG 운반선 수요도 덩달아 증가하는 추세다. 글로벌 조선·해운 투자금융사 클락슨시큐리티스는 전 세계 LNG운반선 신조(건조) 수요가 2029년까지 최대 126척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 규모는 약 47조원에 달한다.
LNG 운반선은 유조선에 비해 높은 기술력이 필요한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꼽힌다. 양형모 DS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LNG 산업 버블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며 “국내 조선업 빅3의 LNG선 사업 가치만 30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