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주택자 40% 강남·서초 거주…관악구 주택 소유 37.7% 최저

다주택자 40% 강남·서초 거주…관악구 주택 소유 37.7% 최저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7-11-17 21:52
수정 2017-11-18 00: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에 집을 세 채 이상 가진 다주택자가 40만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채 이상을 가진 사람도 1만명이 넘고, 50채 이상도 3000여명이나 됐다. 반면 전체 가구 중에 아직도 절반 가까이는 집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집값도 상위 10%와 하위 10%의 차이가 34배나 돼 극심한 양극화의 단면을 다시 한번 보여 줬다.
●다주택자 1년 전보다 10만명 늘어

통계청이 17일 공개한 ‘2016년 주택소유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전국에 주택을 소유한 개인 1331만여명 가운데 주택 한 채를 보유한 이들은 약 1133만명(85.1%), 2채 이상은 198만명(14.9%)이었다. 두 채 이상 다주택자는 1년 전과 비교해 10만여명 늘었다. 집을 다섯 채 이상 가진 소유자는 10만 8826명이었다. 네 채는 6만 3311명, 세 채 24만 3787명, 두 채 156만 3860명으로 각각 나타났다.

다주택자는 서울 강남 3구에 몰려 있었다. 다섯 채 이상 보유자 가운데 3만 6707명이 서울 거주자였고, 그중에서도 송파구 거주자가 5215명, 강남구 3615명, 서초구 2619명이었다. 전국 147개 시·구 가운데 주택을 두 채 이상 보유한 거주자 비율이 가장 높은 곳도 강남구(21.3%)였다. 서초구(20.1%)는 그 뒤를 이었다.

주택 보유자 현황은 작년까지는 광역시·도 단위로 조사·공개됐다. 시·군·구별로 발표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다주택자가 1년 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시행되기 전 상황이라 8·2 대책 효과는 내년에 나올 통계에서 확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주택자 44.5%… 상위 10% 집값 평균 8억

다주택자가 늘어났지만 한편으로는 무주택자도 늘었다. 지난해 전체 일반 가구 1936만 8000가구 중 집이 있는 가구는 1073만 3000가구로 전체의 55.5%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0.5% 포인트 줄었다. 집 없는 가구가 더 늘었다는 의미로 전체 가구의 44.5%가 무주택 가구였다. 시·군·구 기준으로 가구의 주택 소유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 관악구(37.7%), 가장 높은 곳은 울산 북구(66.4%)였다.

작년 주택자산 가액 기준 10분위 현황을 보면 상위 10%의 평균 가액은 8억 1100만원으로, 하위 10% 2400만원보다 33.79배 높았다. 전년 상위 10% 가액은 7억 4300만원, 하위 10%는 2200만원으로 33.77배였다. 격차가 1년 새 더 벌어진 셈이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11-1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