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 1963’ 공개… 농심에 도전장
김정수 부회장 “시아버지 한 풀어”
삼양식품이 우지(소 기름)로 튀겨낸 라면을 출시하면서 36년 전 ‘우지 파동’을 정면 돌파한다. 불닭볶음면을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시킨 자신감을 바탕으로 국내 국물 라면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다.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 1963’을 공개했다. 창업주 고 전중윤 명예회장이 1963년 개발한 한국 최초의 라면을 재해석한 제품으로, 우지와 팜유를 섞어 면발을 튀겨낸 점이 특징이다.
이날로부터 정확히 36년 전인 1989년 11월 3일 발생한 우지 파동으로 삼양식품을 비롯한 국내 라면·제과 업계에서 우지는 금기시된 재료였다. 당시 삼양라면 등 5개 식품회사는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며 검찰 수사를 받았다. 보건사회부가 우지 라면이 인체에 해가 없다고 밝혔고, 몇 년 뒤 법원도 무죄 판결을 내렸지만 삼양식품은 심각한 이미지 타격을 입고 직원 1000여명을 내보냈다.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겪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이날 신제품 발표회에서 “삼양 1963은 단순한 복고 제품이 아니라 삼양의 창업 정신을 현대적으로 되살리는 명예의 복원이자 진실의 귀환”이라면서 “창업주이자 저희 시아버님이 평생 품었던 한을 조금은 풀어드리지 않았나 싶어 울컥한다”고 말했다.
삼양식품은 우지의 감칠맛을 앞세워 내수 시장점유율 반등을 노린다. 가격은 봉지당 1538원으로 농심의 ‘신라면 블랙’ 등 프리미엄 라면이 주요 경쟁 상품이다. 국물 라면은 소비자 개별 선호도가 뚜렷해 신제품이 자리 잡기 어려운 시장으로 꼽힌다. 기존 제품 ‘삼양라면’의 점유율도 5% 미만이다.
2025-11-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