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으로 취업자 증가 추세는 둔화”

뉴스1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있는 일자리정보 게시판을 살펴보는 구직자들의 모습.
뉴스1
뉴스1
한국은행은 4일 발간한 ‘취업자 수 증가에 대한 평가’ 보고서에서 “노동 공급과 수요의 동반 확대, 상용직 중심의 취업자 증가, 대면서비스업의 점진적 회복 등으로 취업자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은 여성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했다. 상반기 청년층 취업자 증가분의 67,5%가 여성인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정보기술(IT)분야의 사무직이 늘었고, 간호사 등 보건복지 분야, 음식·숙박업 임시직 일자리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의 경우,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의 생산·현장직, 농림어업직 등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늘었다. 고령층 취업자 증가분 중 공공행정·보건복지 초단기 일자리(주 15시간 이하)의 비중은 올해 1~2월 19.8%에서 3~6월 5.9%로 감소했다. 일자리 정책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줄었다는 얘기다.
송상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소규모 사업체 생산·현장직 증가는 고령층에서만 나타났는데 이는 해당 부문의 노동 수요 증가와 다른 연령대의 중소기업 생산·현장직 기피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당분간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증가세가 꺾일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최근 취업자 증가세가 생산 대비 다소 가파른데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 경기둔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현재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