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미국 금리인상에 소비자물가가 최대 변수”

금융연구원 “미국 금리인상에 소비자물가가 최대 변수”

입력 2016-01-03 12:07
수정 2016-01-03 1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달러 강세로 신흥국 기업 채무상환 부담 커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앞으로 정책금리를 인상할 때 소비자물가가 가장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동향센터는 3일 ‘미국의 금리 인상과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앞으로 미국의 금리정책 결정에는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 연준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물가지표인 근원 민간소비자지출 물가지수 상승률은 목표치인 2%를 3년 연속 하회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작년 11월 민간소비지출 물가지수는 2014년 11월보다 1.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와 관련,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은 소비자물가가 예상과 달리 점진적으로 상승하지 못하면 통화정책 경로의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금융동향센터는 또 중국·유럽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 둔화와 신흥국의 채무 위기 등으로 미국 경제성장률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거나 금융시스템이 불안해지면 연준이 금리인상 속도를 낮출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연준의 통화정책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중간값)가 올해 말 1.375%, 내년 말 2.375%, 2018년 말 3.250%로 나타났지만 실물경기 방향에 따라 금리 인상 속도가 더 느려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은 작년 12월 기준금리를 0.00%∼0.25%에서 0.25%∼0.50%로 0.25%포인트 올려 7년 동안 유지해온 ‘제로금리’ 시대를 끝냈다.

금융동향센터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 달러화 강세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신흥국으로부터 자본 유출이 확대되고 신흥국 기업들의 채무상환 부담은 더 증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로 신흥국 기업들이 차입 규모를 크게 늘려왔다며 달러화 표시 부채가 많은 터키, 러시아, 브라질의 채무 부담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