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앞두고 중국産 무 수입가격 93% 급등

설 앞두고 중국産 무 수입가격 93% 급등

입력 2015-02-12 13:30
업데이트 2015-02-12 1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돼지고기 수입가 15%, 쇠고기는 17% 상승

설을 앞두고 중국산 무의 수입가격이 급등했다.

12일 관세청이 발표한 ‘주요 설 성수품 수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2일부터 이달 6일까지 중국산 무는 kg당 636원에 수입됐다. 이는 작년 설 성수기보다 93.4% 비싼 것이다.

마늘과 고사리 수입가격도 각각 23.3%, 9.2% 올랐다.

반면 도라지(-29.2%), 양파(-19.5%), 밤(-4.3%) 수입가격은 내렸다.

올해 설을 앞두고선 대부분 농산물의 수입량이 작년 설 성수기보다 줄었다. 국내 재고량이 충분히 확보됐기 때문이다.

중국 산지 거래가격 상승으로 수입가격이 급등한 무는 작년 설성수기 1천763t이 수입됐으나 올해 수입량은 10t으로 99.4% 감소했다.

국내 유통물량이 안정적으로 확보된 양파 수입량은 61.7%, 마늘 수입량은 11.2% 줄었다.

수산물의 경우 주요 제사용품인 고등어, 오징어, 민어, 조기 수입량이 크게 늘었다.

고등어 수입량은 7천605t으로 작년 설 성수기(3천326t)보다 128.6% 증가했고, 수입가격은 19.5% 내렸다. 오징어와 민어 수입량은 각각 93.4%, 40.8% 늘었다.

대부분 물량을 러시아에서 들여오는 명태 수입량은 7.8% 감소했다. 수입가는 21.1% 올랐다.

돼지고기 수입가격은 kg당 3천850원으로 14.6% 올랐고, 수입량도 36.4% 증가했다. 수입 원산지는 미국(25.2%), 스페인(18.5%), 독일(18.2%), 캐나다(11.1%) 순서다.

쇠고기 수입가격은 kg당 9천604원으로 16.6% 올랐으며, 수입량은 10.0% 감소했다. 호주산이 55.8%로 가장 많았고 미국산과 뉴질랜드산이 각각 34.8%, 8.2%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