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새일자리 30만개…작년比 최대 15만개 감소전망

올해 새일자리 30만개…작년比 최대 15만개 감소전망

입력 2013-02-07 00:00
업데이트 2013-02-07 09: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영업ㆍ中企 일자리 감소로 고용시장 위축

올해 국내에서 새로 창출되는 일자리가 30만개 안팎으로 작년보다 8만∼15만개 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경기침체로 자영업자가 크게 줄고,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일자리 감소가 예상되는데 따른 것이다.

7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은행, 통계청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취업자 증가 수는 2010년 32만3천명, 2011년 41만5천명에 이어 작년에는 43만7천명에 달했다.

그러나 올해는 고용시장 위축이 뚜렷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은 올해 취업자 수가 작년보다 30만명(1.2%)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 10월에 한국은행은 올해 32만명 증가를 예상했으나, 최근 경기 상황을 보고 하향 조정했다.

전년 대비 증가율로 보면 작년 1.8%에서 올해 1.2%로 0.6%포인트 낮아졌다.

현대경제연구원과 KB투자증권 등 일부 증권사 애널리스트들도 올해 고용 증가가 30만명 안팎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LG경제연구원은 올해 28만명 증가를 예상했다.

무상보육 실시로 보육 분야에서 월평균 10만개의 일자리 창출 전망에도 불구하고 도·소매, 숙박, 외식업 등에서 자영업자 수가 급감, 전체적인 신규 일자리는 작년보다 15만개 이상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작년보다 높아져도 고용 증가세는 꺾일 수밖에 없다며 신규 일자리는 작년보다 10만개 감소한 33만개에 그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새 정부의 적극적인 고용 증대 정책이 효과를 가져오면서 올해 35만명은 늘어날 것이라고 가장 낙관적인 전망을 했다.

올해 고용이 흔들리는 것은 무엇보다 경기침체로 작년 6월 이후 자영업자의 감소세가 뚜렷해졌기 때문이다.

최근 2∼3년간 경제는 저성장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에도 상대적으로 고용만큼은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노년층과 주부 등 비경제활동 인구가 대거 자영업을 중심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면서 이뤄진 것이다.

LG경제연구원 이지선 연구원은 “급격하게 늘어났던 자영업 종사자들이 줄면서 올해는 작년처럼 43만명이라는 큰 규모의 취업자 증가는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새 정부의 고용확대 정책으로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고용이 늘어나고 대기업도 최소한 작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비해 경기침체와 양극화에 직격탄을 맞고 있는 중소기업은 고용 감소가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이미 지난해 중소기업의 폐업과 도산 등으로 300인 미만의 중소 사업체에서 비자발적 이직자가 전년보다 9.4% 증가한 26만명에 달했다.

인크루트 오규덕 대표 컨설턴트는 “새 정부의 고용 확대 요구가 거세지겠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많이 뽑을 수는 없는 입장”이라며 “특히 경기에 민감한 중소·중견기업은 더 적게 뽑거나 아예 안 뽑겠다는 쪽이 많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긍정적 전망은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에서 나온다.

KB투자증권 문정희 연구원은 “토목 건설 쪽에서 고용이 늘어날 것”이라며 “새 정부 출범으로 정규 고용은 아니지만 임시 고용이라도 증가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