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라운지] “팀이름처럼 다양한 꿈 품고 달렸으면”

[스포츠 라운지] “팀이름처럼 다양한 꿈 품고 달렸으면”

입력 2014-03-13 00:00
수정 2014-03-13 04: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창단 주역 문상모 서울시의원·김경수 공릉중 감독

“선수들이 무지개처럼 다양한 색깔의 꿈을 꾸고, 실현해 가면 좋겠습니다.”

노원 레인보우FC의 창단을 이끈 문상모 서울시의원과 김경수 공릉중 축구부 감독(체육교사)은 원래 지역 클럽팀을 만들 계획이 아니었다.

문상모 서울시의원
문상모 서울시의원
공부하는 축구부로 유명한 공릉중 축구부를 이끌어 온 김 감독은 고교에 진학하면서 공부와 운동 가운데 하나를 골라야 하는 제자들의 현실이 안타까웠다. 또 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문 의원은 메달을 바라보며 엘리트 체육만 중시하는 현실이 못마땅했다.

의기투합한 문 의원과 김 감독은 노원지역 고교들을 돌아다니며 “공릉중처럼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 축구부를 만들어 보자”고 설득했다. 하지만 모든 학교들이 난색을 표했다. 문 의원은 “대부분의 학교가 운동부를 ‘사고집단’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학교든 언제 무슨 문제가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안고 싶어 하지 않았다”며 “차라리 학교 운동부를 넘어서는 새로운 모범 사례를 만들자고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그 결과 지난해 2월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 지역 클럽팀인 레인보우FC가 만들어졌다.

김 감독은 “학생들은 믿음이 있었지만, 자녀들의 진학을 우선 생각하는 학부모들의 참여를 설득하기가 쉽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지금은 지원자가 많아 고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레인보우’란 클럽 이름에는 선수들이 국가대표만이 아니라 다양한 꿈과 희망을 품고 앞길을 헤쳐 나갔으면 좋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김 감독은 “축구를 하다 잘 풀려 국가대표까지 하는 경우는 하늘의 별 따기”라며 “그 나머지도 나름의 성공한 인생,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의원은 “레인보우FC가 모범 사례가 되고, 비슷한 축구팀이 많아지면 자연스레 학교 운동부의 고질적인 병폐도 사라지지 않겠느냐”며 “레인보우FC 선수들이 국가대표는 물론 체육박사, 스포츠 에이전트와 변호사 등 여러 방면에서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서울대공원의 대형 주차장 운영 방식을 둘러싼 특정 사업자 특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6일 2025년도 서울대공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내년 8월 만료되는 대형 주차장 운영 계약을 둘러싼 감사원 지적 사항 미이행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감사원이 ‘사용 수익허가’ 방식의 부적절성을 명확히 지적하고 ‘관리 위탁’ 방식으로 전환하라고 권고했음에도, 서울대공원은 이를 무시한 채 제자리걸음을 해왔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주차장의 계약 만료가 임박했는데 감사 결과도 모르고 나왔느냐”며 질타했지만, 서울대공원장은 “공유재산법 절차에 따르겠다”며 원론적 답변만 반복했고, 감사 내용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답해 논란을 키웠다. 이 의원이 공개한 감사원 보고서에는 “주차장 부지 사용수익허가 방식이 아닌, 관리 위탁 방식으로 운영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공유재산의 적정한 관리와 공정한 경쟁 확보 측면에서 현행 방식은 위법 소지가 크다고 판단한다. 이 의원은 서울대공원의 미흡한 대응에 대비해 법률 자문을 의뢰했고 “사용수익허가 만료 후 동일 사업자에 대한 재허가 의무는 없다”고 해석했다
thumbnail -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03-1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