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니자 탈라시가 지난 6월 11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의 연습장 근처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마드리드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마니자 탈라시가 지난 6월 11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의 연습장 근처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마드리드 AP 연합뉴스
세 번째 올림픽 무대를 밟은 올림픽 난민팀에서 역대 첫 번째 메달이 나온 가운데, 2024 파리올림픽 신설 종목인 브레이킹에 출전하는 마니자 탈라시(22)가 전 세계 스포츠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파리 대회에는 11개 나라에서 온 난민 선수 36명이 12개 종목에 출전한다. 탈라시는 신규 종목인 브레이킹에 출전하는 데다가 아프가니스탄 출신이기까지 하다.
아랍권 매체 알자지라의 6일(한국시간) 보도에 따르면 탈라시는 4년 전 소셜미디어(SNS)로 처음 브레이크 댄스를 접했다. 2021년 여성의 사회적 활동을 제약하는 탈레반 정권이 아프가니스탄에 들어서면서 탈라시가 다니던 댄스 교습소는 문을 닫아야 했다. 여성 브레이크 댄서로 살해 위협까지 받게 되자, 탈라시는 12세 남동생과 함께 파키스탄으로 탈출을 감행했다. 이때 본래 이름을 버리고 페르시아어로 ‘얻으려고 애쓰다’는 의미의 ‘탈라시’로 이름을 바꾸기도 했다.
여권도 없이 방황하던 탈라시와 남동생은 난민 자격을 얻어 결국 스페인에 정착할 수 있었다. 스페인 북부 작은 마을 미용실에서 일하며 지내던 탈라시의 사연을 전해 들은 스페인 지인들은 그가 브레이크 댄서의 꿈을 포기하지 않도록 도움을 줬다. 이번에 올림픽 난민 재단과 연결되면서 이번 파리 올림픽에 나올 기회까지 얻게 됐다.
탈라시는 “탈레반이 무서워서 난민팀으로 올림픽에 나온 것이 아니다”라며 “나는 아프가니스탄 소녀들을 위해 이루고 싶은 꿈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내가 올림픽에 나온 것은 아프가니스탄 여성의 용기와 비록 갇혀 있는 상황에서도 꿈을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이 물러나면 언젠가 조국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소망도 내비쳤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