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대로 썰매 ‘뼈대’… 머리부터 시속 150㎞ 하강

이름대로 썰매 ‘뼈대’… 머리부터 시속 150㎞ 하강

이주원 기자
입력 2022-02-02 18:16
수정 2022-02-03 0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알면 더 재미있는 종목] 엎드려 타는 ‘스켈레톤’

스켈레톤은 머리를 앞에 두고 엎드려 달리는 썰매 종목이다. 이 때문에 선수들은 극심한 공포감을 느낀다. 언뜻 보면 정면을 보며 달리는 것 같지만, 자신의 몸 6배에 해당하는 중력으로 고개를 들기가 어렵다. 선수들은 앞을 보고 싶어도 제대로 볼 수 없다고 말한다. 스켈레톤은 최고 속도가 시속 150㎞에 달하지만 턱 보호대가 달린 헬멧과 팔꿈치 보호대 정도만이 선수를 보호한다.

이런 위험성 때문에 스켈레톤은 그동안 우여곡절을 겪었다. 1928년 생모리츠동계올림픽에서 첫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스켈레톤은 이후 사라진 뒤 1948년 생모리츠 대회에 재등장했다. 다시 오랫동안 자취를 감췄다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올림픽에서 54년 만에 복귀했다. 스켈레톤이란 이름을 얻게 된 건 썰매의 모양 때문이다. 스켈레톤의 썰매 길이는 80~120㎝로 전체 골조는 금속으로 이뤄져 있다. 1892년 처음 스켈레톤 썰매가 만들어졌을 당시 사람들이 썰매의 뼈대(skeleton)만 남았다고 해 지금의 이름이 붙여졌다.

남자부에선 라트비아의 스켈레톤 전설 마르틴 두쿠르스(38)의 활약이 관심사다. 우리나라에선 ‘아이언맨’ 윤성빈(28)과 신예 정승기(23)가 메달을 노린다. 스켈레톤은 오는 10일부터 남자 예선을 시작으로 12일까지 레이스를 펼친다.





2022-02-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