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이 16일 오전(현지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지뉴 경기장에서 열린 2016 리우올림픽 여자배구 8강전 네덜란드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1-3으로 패해 4강진출이 좌절됐다. 김연경이 경기가 끝난 뒤 인터뷰하며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배구는 개인종목이 아니라 단체종목이다. 혼자가 아니라 6명이 유기적으로 다함께 움직여야 한다. 하지만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에선 김연경(28·터키 페네르바체)이 차지하는 위상이 너무 압도적이었다. 김연경은 최선을 다해 뛰고 또 뛰었지만 김연경 혼자서 모든 걸 해결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갈수록 커지는 공격부담은 결국 김연경의 체력까지 바닥내며 8강전 패배로 이어졌다.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이 16일(한국시간) 네덜란드에 세트 스코어 1-3으로 완패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세계 최고 공격수’ 김연경도 계속된 강행군 앞에선 힘이 빠질 수밖에 없었다. 김연경은 터키리그 포스트시즌 파이널리그까지 치르고 5월 2일에 귀국한 뒤 제대로 쉬지도 못하고 곧바로 5월 14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리우 올림픽 세계예선전을 치렀다.
대표팀에서 김연경 의존증은 절대적이다. 한국 대표팀 최다득점은 언제나 김연경 몫이었고 주장으로서 책임감도 김연경 몫이었다. 8강전에서 네덜란드는 한국 대표팀의 약한 고리를 정확히 노렸다. 김연경이 공격할 때는 세 명이 한꺼번에 블로킹을 시도했다.
사실 김연경을 집중 공격하는 작전은 조별예선에서 이미 브라질이 써먹었고 제대로 효과를 봤다. 새로울 건 하나도 없지만 한국 대표팀으로선 달리 방법이 없다는게 치명적이었다. 4년전 실패를 그대로 답습한 셈이다. 그런 와중에도 김연경은 네덜란드전에서 양팀 통틀어 가장 많은 47차례 공격을 시도했고 공격 성공률이 무려 53.2%나 될 정도로 제 구실을 해줬다.
대표팀은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일본을 꺾을 때만 해도 김연경에게만 의존하지 않고 6명이 다함께 공격과 수비를 풀어가며 메달 희망을 밝혔다. 김희진, 박정아(이상 IBK기업은행), 이재영(흥국생명) 등 차세대가 제구실을 해주면서 ‘황금세대’로서 면모를 과시했다. 하지만 네덜란드와 경기에선 서브 리시브가 흔들리는 위기 상황이 이어지자 김연경만 바라보는 모습을 드러냈다.
라이트 김희진은 네덜란드의 높은 블로킹을 뚫어내지 못했다. 박정아와 이재영 역시 공격은 물론 수비에서도 자기 몫을 해주지 못했다. 김희진, 박정아, 이재영에 센터 양효진(현대건설)까지 득점을 모두 더해도 김연경 혼자 성공시킨 27점이 안 된다. 반면 네덜란드는 주전 선수 3명이 두 자릿수 득점을 올리는 고른 활약을 펼쳤다.
김연경은 경기가 끝난 뒤 “네덜란드 선수들이 잘했고 우리는 할 수 있는 것을 못했다”면서 “하나를 꼽기 어려울 정도로 경기가 안 풀렸다. 서브, 서브 리시브, 상대 주 공격수 마크가 모두 잘 안 됐다”고 말했다. 김연경은 “우리가 네덜란드를 잘 알듯이 네덜란드도 우리를 많이 알았던 것 같다”며 “그러다 보니 당황한 면도 있고, 중간중간 고비를 잘 못 넘겼다”고 아쉬워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